봄 봄 봄바람 타고 유적지 둘러보자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일제시대 시인 이상화의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이렇게 시작한다.
이어서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 같은 머리털을 감았구나”로 넘어간다. 또 ‘나’는 시 뒷부분에서 “온몸에 풋내를 띠고/ 푸른 웃음 푸른 설움이 어우러진 사이로/ 다리를 절며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신령이 지폈나 보다.”
과연 그렇다. 빼앗긴 들조차 그러했는데 명목상이나마 되찾은 우리 땅이니 더욱 살뜰하지 않은가. 온몸 쬐는 햇살도 그대로고 산과 들 하늘이 만나 이루는 선도 따뜻하다. 군데군데 농로가 뚫렸긴 해도 논두렁이 어린아이 가르마 같이 삐뚤거리는 것도 매한가지다.
보리밭도 옛날 그대로여서 밭에 내려서면 웃자란 보리가 발목까지 넘실거린다. 예전에는 없던 마늘까지 쑥쑥 올라와 옆에 선 보리와 키재기를 하는 꼴이라니. 때때로 휘감듯 흐르는 바람결 따라 짧은 머리칼을 내어주며 흔들리는 모양조차 정겹지 않을 수 없다.
봄은 나지막한 들판을 먼저 아우른다. 바다에 선선한 해풍으로 오는 게 아니고 산에 진달래나 산수유로만 오는 것도 아니다. 개나리나 벚꽃 같은 도시 가로수를 타고 오는 것만도 아니고 띄엄띄엄 건너뛰듯 담장 안 매화나무나 목련만 밟고 오시지도 않는다.
봄은 잘 자란 쑥과 냉이.달래 같은 나물로 다가와 있다. 따뜻하기만 하면 봄이 무슨 봄이겠는가. 옆구리로 기어드는 쌀쌀한 바람을 타고 오는 게 봄이고 얇은 옷 꺼내 입고 들판을 노니는 게 봄마중인 것이다.
밀양시 부북면 후사포리와 창녕군 부곡면 구산리 30km 거리를 이어주는 1080호 지방도 둘레엔 문화재들이 숨바꼭질하듯 박혀 있다. 한 굽이 돌면 들이고 또 한 굽이 더하면 산이다. 그 사이로 문화유적이 자리잡고 옛사람의 삶과 얼을 건네주니 아이들과 더불어 나물 바구니 하나 끼고 나설 일이다.


△사명당 생가

관광지로 만드는 토목 공사가 한창이다. 사랑채와 안채가 있는데 오른쪽 뒤로 들어가 안채 마루에서 보면 길가 개울물 흐르는 소리와 동네의 정겨운 풍경이 차례차례 감겨든다. 담장 너머엔 향긋한 냉이들이 ‘천지로’ 널려 있다.


△땀흘리는 표충비

높이가 3m 가까이 되는데 앞뜰에 있는 오래 된 향나무와 잘 어울린다. 앞쪽 비문은 밀양을 대표하는 또다른 인물인 사명당의 충의를 새겼고 뒷면에는 스승 서산대사의 행장으로 꾸며 놓았다.


△정순공주.의산군 무덤

태종의 넷째 사위가 의산군 남휘다. 기록에 따르면 홀어머니에 대한 효성이 뛰어나다고 해서 공주와 혼인하게 됐다. 부부가 같이 누운 쌍분인데 앞뒤로 둘러선 석물이 별나서 눈길을 끈다. 무덤 위에서 보는 들판은 그야말로 그림같이 정겹다.


△어변당

조선조 무신 박곤이 어머니를 모시고 살던 데다. 집 앞마당에 적룡지(赤龍池)라는 못을 만들어 고기를 잡아 모셨다는데, 효성에 감동한 용이 떠나면서 남긴 비늘이 물고기가 됐다는 곳이다. 바깥의 저수지 둑에서도 봄나물을 뜯을 수 있겠다.


△예림서원

밀양을 대표하는 인물의 하나인 점필재 김종직 선생을 모신 곳이다. 들머리 2층 높이 독서루와 산수유가 소담스런 뜰을 가로질러 안채 대청마루에 앉으면 담장 너머 들판의 한적함을 송두리째 안을 수 있다.


△김종직 생가

제대리 한골마을에 있는데, 자리만 태어나 자란 곳이지 지금은 추원재(追遠齋)라 이르며 재실로 쓰고 있어 조금 썰렁한 느낌을 준다. 살가운 맛이 남아 있지 않다.

[가볼만한 곳-말양 초동면 오봉서원]
예림서원에서 22km 남짓 되는 곳에 초동면 소재지가 있고 여기서 부곡온천쪽으로 고개를 넘어가다 보면 좌우에 조그만 무덤이 두 개 있다.
오른쪽에 오봉서원이 있고 왼쪽에 비각이 있어서 굉장한 사연이 있다는 느낌을 준다.
조선 중기 문신 학자인 조광익. 1537년 중종 32년 태어나 1578년 선조 11년에 숨졌다. 형제 사이 우애가 두터워 임금이 표창하기까지 했다고 한다.
1576년 과거에서 장원급제를 하고 의금부 도사에 벼슬이 이르렀다. 1578년 아우 조호익이 평안도 강동으로 좌천되자 만나기 위해 평안도 도사를 자청해 갔다. 그런데 그만 강동에서 숨을 거두었고, 이를 가상히 여긴 선조가 정문을 내리고 <삼강행실록>에 싣도록 했다.
이야기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아우의 처지를 애달파하던 형이 멀리 객지에서 숨진 뒤 조호익은 형의 주검을 운구해 고향인 밀양으로 떠났다.
이들 형제의 우애를 높게 산 강동의 선비들. 무덤에 얹어줄 흙을 손에손에 담고서 천리도 넘는 먼길을 나섰다.
그런데 이 선비들이 조호익의 고향 초동에 닿기도 전에 장례는 치러져 무덤 위에 띠까지 둘렀으니 사정이 안타깝게 됐다.
그래서 사람들이 초동면 오방마을 넘어가는 고개길 양쪽에다 강동의 흙을 각각 한 무더기씩 나눠 쌓았다. 돌에다 강동의 언덕이라는 뜻으로 강동구(江東邱)라는 글자를 새겨 흙더미 아래다 꽂아두고 옆에는 강동구 비각까지 덧세우게 됐다는 것이다.
지금 와서 보면 어째 장난스러워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지금도 사람이 숨을 거두면 지붕 위에 올라가 고인이 입던 옷을 흔들어 혼을 부르는 초혼(招魂)을 하는 것으로 미뤄보건대, 그 때 그 양반들의 진지함을 의심할 수는 없겠다는 생각이 든다.
어쨌거나 뒤쪽 서원으로 이어지는 땅에는 눈에 띄는 곳마다 쑥이나 냉이가 수북하다. 햇살도 따사롭고 바람도 자는 곳이어서 반나절 볕바라기 하기에는 그만이다.
예서 놀다 지치면 옛 범평초등학교에 자리를 차고앉은 미리벌민속박물관에 들러 선인들의 숨결을 한 줌 누려봐도 좋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