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우병 파동과 함께 음식물 찌꺼기를 먹인 쇠고기에 대한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경남도내 음식물 찌꺼기 사료는 모두 되새김질을 하지 않는 동물들에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축산업계에서는 “우리나라는 광우병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데도 마치 음식물 사료가 광우병의 원인인 것처럼 알려지고 있다”고 반발하면서도 여론의 추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음식물 사료 소에 안먹여=7일 도에 따르면 현재 가동중인 14곳의 ‘음식물쓰레기 공공자원화시설’ 가운데 지난달 가동에 들어간 마산과 진해시가 돼지용 사료로 본격 공급하기에 앞서 검토를 계속하고 있으며 소규모 시설을 가동중인 함안과 남해군은 닭이나 오리사료로 2년째 공급하고 있다.

마산시의 경우, 국비 5억4000만원 등 모두 18억원을 들여 내서읍 용담리에 하루 40t 처리 규모의 음식물 쓰레기 사료화 시설을 준공해 지난달부터 가동에 들어갔지만 시험가동만 하고 있으며 사료 성분의 유해성 분석을 의뢰해두고 있는 상태다.

진해시도 하루 30t규모의 음식물 찌꺼기 사료화 시설을 준공했으나 아직 퇴비만 생산하며 사료에 문제가 없는지 검토를 계속 하고 있으며 함안군은 지난해 1월부터 모두 244t의 음식물 찌꺼기를 이용한 사료를 생산해 오리를 사육, 인근 양로원 등에 제공하고 있으며 남해군도 지난해 2월부터 음식물 찌꺼기 사료를 환경단체에 제공해 닭사료로 이용하고 있다.

이밖에 창원시와 통영시·김해시 등 10개 시군이 음식물 찌꺼기 재활용시설을 가동해 전량 퇴비를 생산하고 있으며 사천·양산 등 4개 시·군에서 음식물 퇴비화 시설을 설치중이거나 추진하고 있다.

도관계자는 “음식물 찌꺼기가 사료로 안전하다는 것이 농림부의 공식입장이며 돼지나 닭·오리 등 되새김질을 하지 않는 동물에 제공하는 것은 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안다”며 “사료를 생산하는 일부 시·군에서 혹시 다른 문제가 발생할 것에 대비해 정밀검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축산업계 반발=한우협회 하동군지부는 7일 동물성사료 급여 발표에 대한 반박성명을 내고 “관내에서 사육중인 1만7000여마리의 한우에 광우병의 발병원인으로 알려진 동물성사료는 일절 먹이지 않았다”고 밝혔다.

지부는 “지난 98년 5월부터 1년동안 농촌진흥청 산하 축산기술연구소 남원지소의 권유로 ㅎ축산영농조합법인에서 사육중인 한우 15마리에 음식찌꺼기를 발효시킨 사료를 시험급여했으나 뼈는 철저히 제거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관내 30여 한우사육농가들이 솔잎 한우를 지역특산물로 브랜드화하기 위해 친환경적인 축산물을 생산하고 있으며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에 품질인증을 신청해 놓고 있어 사료에 따른 광우병 발병과는 무관하다”고 말했다.

△음식물 사료화사업 계속 추진돼야=한국낙농육우협회 등 축산관련 생산자단체장과 축산인 20여명은 7일 농림부를 방문, 남은 음식물을 소 사료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한 조치를 철회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기도 했다.

유동준 한국단미사료협회장 등은 이날 가진 기자회견에서 “정부가 남은 음식물을 먹인 소는 광우병에 안전하다는 최종 결론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남은 음식물 소 사료화 금지조치를 풀지 않고 있다”면서 “이 조치를 해제하지 않는 한 광우병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은 계속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또 “국내에 유통되는 남은 음식물사료는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하다”면서 “국내 소 사육농가 30만명이 전통적으로 남은 음식물사료로 사육한 결과 우리나라에 광우병이 발생되지 않았다는 점이 이를 입증한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에서 음식물 사료 사용과 광우병은 관계가 없다는 공식 발표를 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 차원에서도 되새김질을 하지 않는 동물에 대한 음식물 사료 활용은 계속 확대시켜 나가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마창환경운동연합 이인식 공동대표는 “우리나라는 발효음식문화가 발달돼 있어 음식물 사료화를 하더라도 유럽과는 상황이 다르다”며 “이번 일로 음식물 사료화 사업이 위축돼서는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연간 8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음식물 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활용하고 처리하기 위해서라도 비반추동물에 대한 음식물 사료화 사업은 오히려 더 강화돼야 할 것”이라며“굳이 동물성 음식 사료가 미심쩍다면 소비자들이 이를 분리수거하는 방안을 모색하면 될 것”이라고 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