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서부경남 공공의료의 핵심이었던 진주의료원을 폐쇄하면서 내세운 이유는 만성적인 재정적자였다. 그러나 여전히 이런 경남도의 주장보다는 홍준표 도지사의 정치적 야심을 위한 희생양이었다는 반대 여론도 식지 않고 있다. 메르스 사태로 공공의료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현실에서 수백억 원을 들인 의료원 폐쇄는 공공의료 후퇴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이치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여전히 많다. 특히 광역자치단체도 아닌 성남시는 경남도와는 반대로 지역거점 공공병원을 새로 짓고 있다.

성남시는 2003년 구도심에 있던 공공의료 시설 2곳을 폐원했었지만 의료시설이 밀집된 서울과 인접한 수도권이어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여건이 경남보다는 월등하게 좋다. 그럼에도 지역거점 공공병원을 짓게 된 것은 2곳의 공공의료시설 공백을 메울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 성남시가 지역거점 공공병원을 짓기까지 결코 수월했던 것은 아니다. 하지만 범시민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설립운동을 펼쳤고 마침내 2017년 개원을 앞두고 있다.

성남시의 경우를 보고 먼저 떠오르는 것은 부럽다는 것이다. 시민사회와 소통하는 시의 공공병원 정책이나 영리목적의 민간병원과 달리 성남시민이 가장 필요한 의료시설에 집중한 것이 특히 그렇다. 취약계층 진료라는 기본적인 역할 이외에 적극적인 치료가 가능한 병원으로서의 역할로 방향성을 정한 점은 공공병원 운영에 본보기가 될 만한 대목이다.

우리나라는 공공의료 비중이 세계 최저 수준인 9%이다. 공공의료원은 낡고 전문성이 부족하다는 인식도 그 이상으로 강하다. 그러나 메르스 사태에서 보듯 시민의 건강을 지킨다는 차원에서 보자면 공공의료의 역할과 기능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폐원이 아니라 한 단계 나은 방향으로 공공의료 서비스를 확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공공의료기관이 적자를 보는데 대한 시각은 건강 공공성을 제공한다는 차원에서 보자면 결코 적자가 아닐 수도 있다. 기껏 막대한 돈을 들여 지어놓고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가 보지도 못하고 폐원을 한 것이 더 큰 적자이다. 진주의료원 폐원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