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비춤]해결 대책에 주민 건강조사 빠져 정기적 관리·농도 기준 강화 지적

2007년 12월 7일 삼성중공업 해상 크레인을 포함한 예인선단이 현대오일뱅크 기름을 실은 유조선 허베이 스피리트호와 충돌했다. 유조선에서 흘러나온 기름은 곧 태안반도 인근 해역을 집어삼켰다. 이때 유출된 기름은 1만 2547㎘.

사고 발생 며칠 후 태안 해역을 오염시킨 기름덩어리 제거 작업이 시작됐다. 지역 주민과 자원봉사자 등 총 207만여 명이 작업에 참여했다. 하지만 작업 초기 유출된 기름에서 나온 유해 화학물질에 지역 주민과 자원봉사자들은 그대로 노출됐다. 초기 방제작업을 했던 참가자들은 마스크나 보호 장비가 없는 상황이었다. 이 중 초등학생을 비롯한 청소년 자원봉사자 비중도 높았다.

이내 화학물질에 영향을 받은 참가자들은 두통, 눈병, 피부 가려움증, 구토를 호소했다. 현장 의료센터에서 이들을 모두 조치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때부터 보건당국 등은 기름에서 나온 유해 화학물질이 장기적으로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집중하기 시작했다.

2008년 급성건강 영향조사는 1월부터 8월까지 진행됐다. 결과에서 유해 화학물질에 따른 건강 이상 징후가 발견됐다. 장기적 추적 조사 필요성으로 2008년 태안군보건의료원에 태안환경보건센터가 들어섰다. 사업내용은 △유류오염 피해지역 주민 건강영향조사와 모니터링 △환경성질환과 건강영향 연구 △시료뱅크 확보와 등록DB 구축 등이다.

태안 사례를 그대로 비소 문제에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오염에 노출된 지역 주민 건강을 장기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요구는 맥을 같이한다. 도는 비소 문제 대책으로 수질관리 강화를 들고 나섰지만, 주민 건강조사 대책 등은 언급되지 않아 반쪽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은 함안지역 마을 상수도 비소 오염과 관련해 주민과 어린이 대상 혈액 중 비소 농도 검사, 어린이 비소 노출 변화 추이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함안군은 현재 동아대학교 중금속 노출 환경보건센터에 비소 노출 원인분석과 인체 노출 수준평가 및 건강 영향조사를 의뢰한 상태다. 하지만 이는 함안의 경우일 뿐, 나머지 지역을 대상으로 한 건강조사는 요원한 것이 현실이다.

한편 주민 건강을 염려한다면 비소 농도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도 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이 제공한 자료를 보면, 2001년 호주와 뉴질랜드는 비소 농도 기준을 0.07㎎/ℓ로 규정하고 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은 2014~2015년 비소 농도 기준 0.01㎎/ℓ 18곳과 0.009㎎/ℓ 91곳은 방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은 비소 농도 조사 결과가 기간이나 기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만큼 선택 여지없이 항상 먹는 식수라는 점을 고려해 현재의 0.01㎎/ℓ이라는 기준을 더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