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군 관리 인력 부족 해명, 비소 수질검사 연 1회 그쳐

올해 경남지역 마을 상수도 중 비소 농도 상한선을 초과한 곳은 총 23곳. 지난해에는 28곳에 달했다. 결과를 받아들인 마을 주민 충격이 클 것이라고 예상한 것과 달리, 비소가 어떤 물질인지도 제대로 알지 못하는 주민이 대다수였다.

도내 상수도 시설은 모두 3236곳. 도에서 지도·감독하고 각 시·군이 관리를 하고 있다. 하지만 소규모 수도시설은 현실적으로 해당 지역 주민들이 관리를 하는 실정이다.

그 이유를 도는 시·군 관리 공무원 인력 부족이라고 말했다. 현재 사정으로는 해당 공무원 1인당 마을 상수도 180개소를 관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렇다고 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다.

비소는 현재 반도체 산업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최근까지 의약품과 농약에도 사용됐다. 하지만 독성이 강하고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물질이라는 점 때문에 점차 다른 화학 물질로 대체됐다.

밀양 한 마을 주민이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물에 손을 씻고 있다. 주민 대부분은 마을 상수도에서 기준치 14배가 넘는 비소가 검출됐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특히 세계보건기구(WHO) 국제암연구소는 1993년 비소를 1급 발암물질로 규정했다. 조금만 섭취해도 메스꺼움이나 구토, 설사를 일으킨다. 다량으로 복용했을 때는 심장 박동에 이상이 생기거나, 혈관 손상, 심한 통증을 일으켜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 예부터 사람을 독살하거나 사약에도 썼다고 알려졌다. 창원대학교 화학과 임재민 교수는 "비소는 대표적 발암물질로 체내 흡수 시 대사과정에 영향을 주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준공검사를 통과한 마을 상수도에서 갑자기 비소가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된 까닭은 무엇일까. 도는 비소 과다 검출 원인으로 지질상 영향을 꼽았다. 경남지역 지하 암반석이 주로 화강암으로 이뤄져 있는데, 이는 다른 암석보다 비소 함유량이 많다는 설명이다. 이 같은 일반적 원인 외에 구체적인 요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도는 비소 수질검사 주기를 연 1회에서 분기별로 단축하고 전수검사를 하는 것으로 조치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이지만 일각에선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목소리도 있다.

지난 26일 마창진환경운동연합은 기자회견에서 "비소 제거기를 설치해도 행정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결국 주민 눈속임만 하는 전시성 행정이 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함안 한 마을은 지난해 비소 제거기를 설치했지만 지난 7월 13일 마창진환경운동연합에서 비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정수 후에도 0.068㎎/ℓ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시료 채수 과정에서 여과제로 보이는 작은 알갱이도 발견됐다.

수질검사 시기나 기관에 따라 들쭉날쭉한 결과 때문에 불안은 증폭될 수밖에 없다. 환경단체는 기준 초과 상수도는 즉각 폐쇄하고 대체 상수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