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닥보호공 9.3m까지 유실…물받이공 11곳 누수 현상도

4대 강 사업으로 건설된 '보'에서 지속적으로 누수가 발생하고 있고 심각한 세굴 현상도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자원공사는 누수와 세굴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어 보 침하 등 안전상의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김경협 의원이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수중조사 결과에 따르면 함안창녕보 물받이공 이음부 11개 지점에서 누수가 발견됐고, 구미보 9개, 창녕함안보 8개, 공주보 1개 지점 등 모두 4개 보에서 29개 지점의 누수가 확인됐다.

특히 창녕함안보는 세굴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홍수기가 지난 뒤 바닥보호공 구간에서 약 200㎡ 면적의 바위 구조물이 9.3m까지 세굴돼 유실된 것으로 나타났다.

물받이공 아래에 설치한 세굴방지공까지 포함하면 쓸려 내려간 구조물 면적은 1만 1000㎡이며, 세굴된 최고 깊이는 9.8m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9월 창녕함안보 측방 침식 현장. /경남도민일보 DB

김 의원실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창녕함안보를 건설한 GS건설이 올해 3월부터 3개월간 세굴된 구역에 사석과 돌덩이 등을 메워 하자보수 공사를 했다. 하지만 이미 보 건설 당시 세굴방지공을 바닥에 까는 SPE 공업으로 시공했음에도 큰 홍수가 없었던 지난해 대규모 유실 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확인된 터라, 하자보수공사가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세굴된 면적과 단면을 보면 사실상 3000평에 들어선 2층 건물 규모의 암석 구조물이 1년 만에 통째로 쓸려 내려간 셈"이라며 "여기에 돌덩이를 메운다고 해서 세굴이나 유실이 방지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2017년 하자보수 기간 만료 이후에는 '밑 빠진 보에 돌 채우기'격 혈세 낭비를 불러올 것이므로 재자원화 등 근본 대책을 논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자원공사는 김 의원에게 제출한 답변자료를 통해 창녕함안보 유실 현상과 향후 대책에 대해 "전문가를 통한 심층 기술검토를 거쳐 바닥보호공 보강을 완료했으며, 필요 시 근원적인 하자보수를 시행하도록 해 하자보수 만료 후에도 추가적인 보강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국수자원공사조차도 '근원적인 하자보수'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창녕함안보에서 추가 세굴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