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비춤]윤리적 소비 트렌드 속 사회적기업의 과제

윤리적 소비 역사는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일본으로부터 경제적 자립을 하고자 전개했던 물산장려운동, 국산품애용운동 또한 윤리적 소비의 하나다. 최근 트렌드는 어떻게 시작된 것이며 7년 차인 사회적 기업이 안고 있는 과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커피 공정무역 관심서 시작 =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윤리적 소비', '착한 소비'가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이는 공정무역에 대한 관심이 도화선이 됐다.

전 세계 커피 교역량이 석유 다음으로 많지만 커피 농가에서는 제대로 된 임금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슈가 됐다. 이를 놓치지 않은 다국적 커피 기업 스타벅스는 '공정무역' 마케팅을 시작했다. 스타벅스는 앞장서서 공정무역을 홍보했고 이 긍정적 마케팅은 성공을 거뒀다.

스타벅스 이후 기업들의 윤리적 소비 마케팅은 이어졌다. 국내 카페 브랜드 '카페베네'는 청년 봉사단을 커피 생산국 현지에 파견해 봉사활동을 펼쳤고 CJ푸드빌 커피전문점 '투썸플레이스'도 공정무역 커피와 더불어 에코 텀블러를 판매하는 등 다양한 친환경 프로모션을 진행하고 있다.

최근 한 대형마트에서도 적극적으로 윤리적 소비 마케팅을 이용하고 있다. 이마트가 국산 농수축산물의 경쟁력 강화를 강조한 '국산의 힘'이 그것이다.

이 밖에도 YMCA, YWCA 등 단체에서 꾸준히 소비자 교육을 진행한 것과 가격보다 만족감이나 타인의 시선, 건강 등에 중점을 두는 소비자가 증가한 것도 윤리적 소비 트렌드 확산 이유 중 하나다.

09.jpg

◇윤리적 소비 어떻게 하면 될까 = 어떤 제품을 구입하면 윤리적 소비에 해당하는 것일까. 친환경·유기농 농산물, 공정무역 제품, 마을기업·로컬푸드·협동조합에서 만드는 제품 등이 해당하는데 최근 각광을 받는 것이 사회적 기업이다.

사회적 기업은 비영리 기관과 기업 중간 영역으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으로 추구하면서 재화·서비스 생산·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생긴 지 7년차 도내에는 예비사회적기업 67개와 사회적 기업 72개가 있다.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자리 제공형,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서비스 제공형, 일자리 제공형과 사회서비스 제공형이 합해진 혼합형, 기타형, 지역사회공헌형으로 나뉜다.

◇7년 차 사회적 기업 과제와 대안 = 윤리적 소비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이것이 소비로 이어지지는 못하고 있다. 올해 초 사회적 기업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사람 비율은 7.6%에 머물렀다.

창원시 진해구에서 도시락 판매를 주로 하는 사회적 기업 해피푸드(주)는 지난 2009년 예비사회적기업으로 시작해 2010년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받았고 현재는 지원이 끝났다. 이 업체는 비교적 운영이 잘 되는 편이지만 일반인에게 영업하기는 여전히 어렵다고 했다. 김선희 팀장은 "현재 진해종합사회복지관 등 기관에 납품하고 있다"며 "각종 박람회에서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지만 일반업체 신청은 거의 없다"고 했다.

그는 자립 능력이 부족한데도 기간 종료와 함께 지원이 끊기는 것에 대한 아쉬움도 남겼다. 김 팀장은 "지원 마지막 해에는 기존 지원금의 절반 정도 지원 받았는데 운영이 힘들어 인원을 감축했다"며 "인증 종료 후에도 지속적인 관리가 절실하다"고 말했다.

마산YMCA 조정림 부장은 사회적 경제에 대한 인식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사회적 경제,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등 윤리적 소비와 관련된 용어부터 일반인들에게 자연스러워져야 한다"며 "사회적 기업은 열악하다, 제품 질이 떨어진다는 등 부정적 편견을 깰 수 있는 정부의 창조적 홍보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