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측면에서 보면 문화예술 서비스는 나아지고 있을까? 이를테면 문화향유권에서 대중이 느끼는 문화예술 서비스와 문화예술 생산자 그룹에서 보는 문화예술행정 서비스 만족도 같은을 거 말이다. 문화예술부문에서의 서비스 만족도는 생산 주체가 누구인가에 따라 공급되는 서비스 내용과 파급효과의 결과에 대한 평가가 엇갈린다.

예컨대 미술전람회에는 왜 사람들이 모이지 않을까? 원인에 대한 분석은 제각각이지만, 생산자의 문화예술 서비스 공급방식에 대한 문제, 즉 문화매개(Mediation culturelle)나 문화매개자(Mediateur culturel)들에 대한 문제인지 아니면 스스로 향유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한 수용의 문제인지, 케케묵은 질문이지만 문화예술 서비스는 대중이 원하는 걸 공급해야 하는가 아니면 공급을 향유할 수 있는 역량을 높여야 하는가 같은 시대착오적인 물음을 묻고 있는 것이다.

문화예술 서비스에 대한 문제라면 이른바 관객들이 문화예술과 만남을 통해 고유한 의미와 스스로 향유할 수 있는 역량을 만들 수 있도록 촉진하는 문화매개자가 그 역량을 높여야 하는 것인데, 미술전람회에서 만나는 불친절한 작품들과 무뚝뚝한 작가, 그리고 문화매개자 부재는 충분히 대중으로부터 외면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스스로 미술전람회를 향유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한 관객들의 책임이 일부 있더라도 말이다.

그렇다면 경남의 문화예술행정 서비스는 나아지고 있는가! 세계화·정보화로 인해 공공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정책 결정 방식으로 시민과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문화정책을 수립, 실행하는 문화거버넌스 체제로 전환하고 있는데, 경남 문화 행정 서비스는 거꾸로 가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국가지원시스템에 접근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문화예술행정 서비스에서 소외된다거나, 지원보다 간섭이 늘어갈 수밖에 없는 문화행정 서비스 지원구조의 고착화 등이 그것을 보여준다. 

문화거버넌스 핵심인 파트너십, 네트워킹, 시장 메커니즘 등이 원활하게 작동하기 위해서는 지자체, 예술단체, 기업, 시민사회 등 경남의 각 층위와 민과 관의 완충역할을 하고 있는 문화예술 지원기관이 경남문화예술네트워크에서 허브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때 문화거버넌스의 구축이 가능해질 것인데, 결국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경남문화예술 행정 서비스 만족도는 경상남도와 각 시·군단위 문화예술 행정 서비스에 대한 의지와 문화재단 등 문화예술 지원기관의 적극적인 문화예술 행정 서비스에 달렸다는 이야기다. 

황무현.jpg
가까운 일본의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경쟁적으로 구축되어 있는 문화예술 인프라와 문화예술 행정 서비스에 대한 지원시스템 선진화가 부러워진다. 현 단위로 운영되고 있는 현립미술관이며, 사설미술관, 예술홀 등 한 현에 많고 다양한 문화공간과 관의 적극적인 지원체계, 다양한 문화예술 서비스가 부럽다. 

/황무현 조각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