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우기(글 쓰는 삶, 생각하는 삶 blog.daum.net/yiwoogi)

'죽장망혜(竹杖芒鞋)'라는 말이 있다. 이 말을 처음 안 것은 고등학교 시절 '강병철과 삼태기'가 부른 노래에서였다. 정비석이 쓴 <소설 김삿갓>에서도 본 듯하다. 알고 보니 '창부타령'에도 나온다.

'대지팡이와 짚신'이라는 뜻으로 산수 유람하러 길 떠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먼 길을 떠날 때의 아주 간편한 차림새를 이르는 말이기도 하다. 대지팡이 하나와 짚신만 있으면 어디든 언제든 허위허위 떠날 수 있고, 실제 떠난다는 말이다. 이 얼마나 멋진 말인가. 풍류가 저절로 나오고 노래와 술이 졸래졸래 발자국 따라다닐 것만 같다. 죽장망혜는, 오는 9월 17일부터 10월 31일까지 담양군 죽녹원 일원에서 열릴 '2015 담양 세계 대나무 박람회'의 홍보전시관 안에서 본 말이기도 하다.

죽녹원

담양(潭陽)은 그렇게 다가왔다. 한 번도 못 가본 곳인데 몇 번은 가본 듯하고 그래서 언젠가 기어이 한번은 가야겠다고 생각해 왔던 곳이다. 저녁 늦게 대충 짐 꾸리고 아침 대강 때우고 나서 내비게이션만 믿고 길을 나섰다. 그 전날 이런저런 정보를 이곳저곳에서 수집하긴 했지만, 일단 부닥쳐 보자는 생각이 더 컸다. 무엇무엇을 볼지 밥은 어디에서 먹고 잠은 어디에서 잘지 정하지 않았다. 여차하면 길바닥에서 라면 끓여 먹고 노숙을 하더라도 좋겠다 다짐하였다. 정확하게 두 시간 걸려 도착한 담양은 자그마하고 오밀조밀하고 예뻤다. 차는 많았지만 따분하다거나 지겹다는 생각은 들지 않았다. 날씨는 더웠다.

중3 아들과 함께 죽녹원 앞에서

'죽녹원'을 거닐며 '하찮았던' 대밭도 이렇게 가꾸고 모양을 내고 나니 그럴듯한 관광지가 된다는 사실이 신기했고, 길마다 이름을 붙이고 나니 나그네들이 오히려 어깨를 으쓱해 할 만해지는 것도 신기했다. 조선시대 문장깨나 날리던 송강 정철, 면앙정 송순 등 양반 나리들이 가사를 끼적거리며 노닐던 정자들을 한곳에다 모형으로 모아놓은 것도 볼만했다.

점심을 때우고 메타세쿼이아 길을 둘러 숙소로 향했다. 메타세쿼이아 길은 아내 혼자 왕복했고 다리가 아프고 허리도 아픈데다 목마저 마려운 나와 아들은 근처 커피숍에서 시간을 죽였다. 저녁으로 라면에 삼층밥을 말아먹고 나서 관방제림(官防堤林)을 다녀왔다.

소쇄원

숙소는, 진주에서 출발할 때 담양군청 홈페이지에 올려져 있는 여러 곳 중 전화를 하여 세 번 만에 인연이 닿은 곳이다. 가향채(佳香寨). 향기가 아름다운 집이란 뜻이다. 과연 온갖 꽃들로 단장된 마당에서는 아름다운 향기가 그윽하게 풍기오는 듯했다. 하지만 하룻밤 지내고 보니 그 향기는 주인 내외의 살가움과 친절함, 붙임성, 서글서글하면서도 세심함, 그리고 솜씨에서 스며 나오는 것이라고 해야 옳았겠다. 아침밥으로 찰밥과 누룽지에 맛깔나는 반찬으로 잘 얻어먹고 나서, 그 값으로(주인의 요청대로) 방명록에 몇 글자 적어 놓고 왔다.

둘째 날에는 그 이름도 유명한 소쇄원(瀟灑苑)으로 달렸다. 출발 전날 밤 읽은 유홍준 교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에서 외운 내용을 아내와 아들에게 설명했다. 알고 가야 제대로 볼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곳이 소쇄원이다. 한국가사문학관도 들렀다. 정철이 가사를 지었다는 '식영정'도 먼발치에서 보고 왔다.

담양은 참 볼 것이 많고 먹고 싶은 것도 많았다. 보통 '무슨 무슨 8경'이라고 하여 여덟 개를 겨우 맞추는데, 담양은 '담양 10景', '담양 10味'라고 한다. 그만큼 풍부하다. 이틀 동안 부지런히 돌아다녔지만 본 것보다 못 본 것이 더 많고, 맛본 것보다 맛보지 못한 것이 더 많다. 찬바람 불 즈음 다시금 시간을 내어야 할 이유이다.

/이우기(글 쓰는 삶, 생각하는 삶 blog.daum.net/yiwoogi)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