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비춤] 창동예술촌 3년, 도심 속 예술촌 딜레마 빠지나

여러분은 창원 창동예술촌을 어떻게 생각하세요?

2012년 5월 개촌한 창동예술촌은 창원시의 도시재생사업 하나로 시작됐습니다. 말 그대로 예술(문화)로 쇠퇴한 도심을 매력적으로 변화시키는 정책입니다.

개촌 4년 차로 접어들면서 창동예술촌이 갈림길에 섰습니다.

창원시는 행정적으로 투입한 예술을 점차 빼려고 합니다. 반면 입주작가는 예술을 더욱 강화해야 창동예술촌이 다른 상점가와 차별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창동예술촌이 딜레마에 빠질 위기에 놓였습니다.

◇창동예술촌의 성공사례가 젠트리피케이션? = 창원시 마산합포구 동성동 268번지 창동 황금당골목의 한 상가. 2013년부터 오랫동안 비어 있던 지하 1층과 지상 3·4층에서 창동 도심형 레지던스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현재 지하 1층은 '창동SO극장'이라는 이름으로 무대와 조명, 음향을 갖춘 소극장으로 변했고 3·4층은 ACC 프로젝트(대표 서익진·하효선)가 레지던스 프로그램을 펼치는 사무실과 작가들의 숙소가 됐다.

창원시는 2년간 ACC프로젝트에 점포 임대료를 지원했다. 마산원도심재생을 목적으로 추진하는 도시재생사업의 하나인 '빈점포를 활용한 창동예술촌 조성사업'의 예산을 들였다.

그리고 지난 5월 31일 자로 계약이 종료됐다.

건물주는 창원시와 건물임차계약을 연장하지 않기로 했다. 시가 제시하는 월 임대료가 예상보다 40만 원 정도 적어서다. 시는 감정가의 60%를 월세로 지급하고 있다.

건물주는 굳이 시 지원을 받지 않아도 상가를 운영할 수 있다고 전했다. 오히려 시가 제시한 월 임대료보다 높은 가격에 세를 놓을 수 있다고 했다.

이에 ACC프로젝트는 11일까지 공간을 비워줘야 할 처지에 놓였다.

ACC프로젝트 관계자는 "도심형 레지던스 맥이 끊기게 됐다. 시가 예산 2억 원을 들여 만든 창동SO극장도 역할을 잃었다"고 안타까워했다.

하지만 창원시는 이를 창동예술촌 성공사례라고 평가한다.

빈 점포를 없애자는 원 취지에 들어맞고 서울에서 흔히 나타나는 '젠트리피케이션(구도심이 번성해 임대료가 오르면 원주민이 내몰리는 현상)'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이재영 창동예술촌 담당 직원은 "ACC프로젝트 경우처럼 건물주가 시 지원을 바라지 않으면 정책은 성공한 것이다. 예술을 벗어나더라도 상업화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오는 10월 31일 창동예술촌 64개 점포의 계약이 종료된다.

창원시는 건물주 60여 명과 재계약을 추진할 계획이다.

빈 점포 계약에 따라 입주작가들의 상황도 달라진다.

18.jpg
▲ 그래픽 서동진 기자.

◇"예술은 도시재생의 발판이었다" = 시간을 거슬러 창동예술촌의 첫출발부터 따져보자.

2010년 통합 창원시가 출범하면서 창원과 마산, 진해의 균형이 필요했다. 마산권역은 '마산르네상스'란 이름으로 원도심(창동·오동동 일원) 재생프로젝트가 추진된다. 오래된 역사와 문화, 상권을 지녔고 1980년대 경남지역 상권의 중심이었던 창동을 부흥시켜보자고 했다.

'빈점포 활용 창동예술촌 조성사업'은 마산권역 원도심재생 마중물 사업의 하나로 시작했다. '창동을 살리도록 골목길 빈 점포를 활용하자, 점포에 무엇을 넣을까, 예술로 재생시키자'에서 창동예술촌이 탄생했다.

이와 마찬가지로 부림시장도 빈 점포를 고쳐 작가를 입주시켰다. '부림시장 창작공예촌'이다. 창원시는 점주에게 임대료를 지원하고 있다.

창원시는 올해 빈 점포 임대료 2억 5000만 원을 포함해 창동예술촌에 예산 4억 6000만 원을 투입했다. 2011년 창동예술촌을 정비하려고 20억 원을 들였고 2012년부터 창동예술촌 운영비로 매년 4억~5억 원을 쓰고 있다.

박중현 창동예술촌 담당 계장은 "예술인을 중심으로 발전하던 골목에 활기가 돌면 상가 임대료가 오르고 대기업 프랜차이즈가 들어선다. 자연스럽게 임대료를 지원받지 않아도 되는 자생력을 갖춘 예술인이 남게 되고 새로운 작가가 유입된다"며 "집값이 전혀 오르지 않고 머물러 있다면 지역 도시재생은 실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창원시는 예술인이 마중물 역할이라는 입장이다.

이지훈 창동예술촌 아트디렉터는 "작가들의 자생력을 키워야 한다. 지난해 9월 창원시가 직접 창동예술촌을 운영하면서 예술작가와 힘을 보태 발굴·기획 전시를 했다. 예술촌 입주작가와 아트페어에도 참여했다. 작가들의 자생력을 키우려고 1차로 임대료를 지원하고 문화놀이터 사업 등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창동예술촌에 '예술'이 없다면?창원시는 조만간 예술촌 입주작가 평가 지침을 마련한다. 빈 점포 계약에 맞춰 작가 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새로운 작가 유입도 검토하고 있다.

그런데 창동예술촌이 축소되면 시민들의 발걸음이 뜸해지지 않을까?

박중현 계장은 "궤도에 올라섰다"고 평가했다.

창원시는 지난 4월 기준 창동예술촌을 찾는 방문객을 연 기준 279만 명으로 추산했다. 창원도시재생지원센터가 창동예술촌과 부림창작공예촌 등 창동·오동동 일원에 모니터링을 한 결과 2011년보다 평일 기준 167%, 주말 기준 150%의 유동인구 증가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입주 작가들은 창동예술촌을 도시재생차원에서 접근할 것이 아니라 예술창작센터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예술색을 강화하는 것이 도시재생의 성공이고, 창동이 어디서나 볼 수 있는 상권이라면 현재 성과도 잃어버린다고 입을 모았다.

(사)창동예술촌은 쇠퇴한 도시를 3년 만에 살려낸 것은 문화예술 콘텐츠라고 지적하고, 문화가 도시를 살린다고 강조했다. 입주작가들은 창원시가 창동예술촌을 상남동과 합성동처럼 유명 상점가로 만들게 아니라 예술촌이라는 특수성을 잘 다듬어야 한다고 성토했다.

한편 창동예술촌 임대료 지원사업은 2018년까지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