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메르스라는 표현이 거론되고 있다. 바이러스가 국내에 들어와 변이되지 않았지만 우리나라 병원문화의 특수성으로 메르스 전염력이 높아졌다는 말이다. 물론 콩나물 병실이나 시장바닥 같은 응급실 탓이 클 수 있다. 가족이 주로 간병을 하는 문화적 특수성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는 평상시에 독감이 유행할 때도 마찬가지니 이유가 되지 못한다.

한국형 메르스라 불릴 정도로 미증유의 사태로 퍼져나가 나라 전체가 공포와 불안에 빠진 이유는 정부의 안전불감증과 소통부재, 그리고 위기관리의 무능함에 기인한다. 여기에 삼성이란 무소불위의 권력이 보건당국을 무력화시킨 것이 결정적으로 작용했다.

일단 대통령과 정부가 발생 초기에 바로 대응체계를 가동하지 못한 데 책임이 크다. 작년에 WHO 등의 경고도 있었으니 미리 대책을 세웠어야 마땅하다. 발생하자마자 컨트롤타워를 갖춰 일사불란하게 움직였더라면 초반에 잠재울 수 있었음에도 우왕좌왕하다 적기를 놓쳤다.

게다가 쉬쉬하고 있을 일도 아니었었다. 현재까지 확인된 경로를 보면 전부 병원감염이니 처음 발병한 병원부터 즉각 격리 차단했더라면 3차 감염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훨씬 줄었을 것이다. 초대형 병원에서 최초 환자가 발생한 사실을 정부 당국조차 모르게 숨기다 사태를 키운 셈이다. 그런데다 차후 보건당국까지 결탁해 공개를 미루고 은폐하려 했으니 대응체계가 가동될 리 만무했던 것이다.

대통령이 초반에 나섰더라면 급한 불을 빠르게 껐을 것이란 지적이 많다. 2차 유행으로 번질 때까지 대통령이 보여준 무심한 태도는 납득하기 어렵다. 지방자치단체장들이 혼란을 부추길 수 있다는 비난을 들어가며 공개를 요구하는 바람에 국민들이 선제적으로 확산을 막고 있는 것을 보면 대통령이 미리 나서 국민에게 협조를 구하는 것이 옳았다.

메르스의 전염력은 그다지 무서운 게 아니다. 아직도 대응체계가 효율적으로 가동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관료주의와 권위주의 때문이다. 불신과 혼란은 정부와 대기업이 불러왔지 국민이 초래한 일이 아니다. 대통령과 정치권이 국민을 믿고 소통하면 우리 국민의 높은 도덕과 상식으로 충분히 협력해 저지할 수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