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비춤]육군 39사단 함안시대 시작

육군 39사단이 60년 '창원시대'를 마감하고 '함안시대'를 연다. 창원 도심이 팽창하면서 부대 이전 목소리가 불거진 게 1990년대다. 지난했던 논의는 지난 2008년 창원시와 39사단이 이전 합의각서를 체결하면서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 7년 남짓 이어진 부대 이전 과정을 매듭지으며 창원과 함안은 새로운 기회를 엿보고 있다. 다시 마련하기 힘들 넓은 터에 대한 기대가 창원 것이라면 사단 병력이 키울 지역 규모에 대한 기대는 함안 것이다. 그리고 각자 거는 기대 한쪽에는 만만찮은 걱정도 자리하고 있다.

39사단은 다음 달 24일 함안 군민을 초청해 부대 이전 기념식과 사단 창설 60주년 기념식을 열 계획이다.

◇창원, 넓은 터에 거는 기대 = '창원의 마지막 노른자위 땅'. 39사단 터에 으레 붙는 이 수식에 창원이 거는 기대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도심에 129만 4542㎡ 땅을 얻고자 창원시가 39사단에 마련해 준 땅이 505만 4263㎡이다.

39사단 터 개발은 중동·감계 2지구로 나눠 진행된다. 창원시 의창구 중동지구는 대규모 주거단지(6100가구)와 공공업무 용지로 조성한다. 개발면적 80만 9440㎡ 가운데 30만 6913㎡가 주거용지다. 아파트 분양은 이르면 내년 상반기에 시작해 2018년 상반기까지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창원시 도시정책국 관계자는 "민간 사업자가 분양 실적을 확인하며 단계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공공시설용지는 36만 9417㎡로 도로, 학교, 녹지 등을 배치한다. 이 밖에 상업용지가 4만 6484㎡, 공공업무·문화·종교 시설 등이 들어서는 지원시설용지는 4만 6484㎡로 구획했다.

북면 사격장 터에 해당하는 감계 2지구는 개발면적 21만 4975㎡ 가운데 5만 8497㎡가 택지용지로 배정됐다. 공원, 도로, 녹지 등을 조성하는 도시기반시설용지는 15만 6478㎡이다.

육군 39사단이 '60년 창원시대'를 마치고 함안으로 이전한다. 부대 이전 첫날인 28일 오전 각종 짐을 실은 군용트럭이 39사단 정문을 빠져나가고 있다. 39사단은 1955년 경기도 포천에서 창설되어 같은 해 7월 현재의 창원시 의창구 중동으로 옮겨졌다. /박일호 기자 iris15@

창원시는 중동지구 개발 효과로 북창원권 개발 가속화, 도심 아파트 가격 안정과 택지 공급 등을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개발 방향을 걱정스럽게 바라보는 눈길도 있다. '노른자위 땅'에 걸린 기대가 고스란히 부동산 수익에 대한 집착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걱정은 민간 사업자가 8800억 원에 이르는 사업비용을 회수하려는 욕구를 창원시가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할 수 있겠느냐는 의심으로 이어진다. 39사단 이전이 공론화될 때부터 공공재 성격을 강화한 충분한 녹지 확보에 대한 요구가 거셌던 배경이기도 하다.

도시정책국 관계자는 "대규모 택지 개발에 자연스럽게 따라올 수밖에 없는 난개발 부작용을 막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장치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함안, 지역 규모 증대에 거는 기대 = 39사단 사령부가 함안군에 들어서면서 당장 3000명 정도 상주인구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훈련병, 동원 예비군, 공익요원 소집 인원까지 포함한 유동인구는 2만 명을 웃돌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505만 여㎡ 땅에 들어서는 시설과 더불어 함안군 덩치는 자연스럽게 커질 수밖에 없다.

당장 지역경제에 미칠 효과에 대한 기대가 따라붙는다. △음식점·숙박시설 등 지역 상권 활성화 △부대 물자 공급으로 농가 소득 증대 △부대 시설 운영에 따른 취업 기회 증가 등은 대표적인 낙관론이다.

하지만, 대규모 사단 병력이 자리매김하면서 발생할 가늠할 수 없는 부작용에 예민한 이들도 있다. 이는 지금까지 이전 과정에서 불거졌던 보상 문제나 부대 시설에 대한 갈등과는 또 성격이 다른 문제다.

조현기 함안참여연대 대표는 "군북 지역은 외국인 노동자 유입으로 이질적 문화 때문에 생기는 부작용이 발생하는 지역"이라며 "원주민과 이주민에 군인까지 섞였을 때 생길 문화적 충돌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자칫 외국인 노동자와 군인이 섞이면서 일어날 수 있는 사건·사고에 주민이 고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권 활성화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이 원주민에게 해당되지 않는다는 걱정도 있다. 커지는 상권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이라는 게 과감하게 투자할 수 있는 외부인에게 떨어지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이 역시 원주민 고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변수다.

이전 과정에서 주민과 적극적으로 소통했던 39사단이 이전 이후에도 같은 태도를 유지할 것인지에 대한 걱정도 있다. 폐쇄적인 군 의사 결정 구조 특성상 앞으로 부대 시설 변경이나 추가 과정에 주민이 개입할 여지가 있겠느냐는 의심이다.

이 같은 비관적 전망은 결국 한 가지 과제로 모인다. 39사단이 지역 주민과 얼마나 열린 자세로 소통할 수 있느냐는 것이다. 이는 폐쇄적인 의사 결정 구조와 우월적인 태도를 경계하자는 주문이기도 하다.

39사단 관계자는 "39사단 이전이 단순히 지역 경제 규모를 키우는 정도에서 벗어나 군민과 늘 소통하며 화합할 수 있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