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부릅 뜨고 보는 원자력] (4) 경주 방사성폐기물처리장

4월 23일 오전 10시 경주방폐장, 정확하게 방사성폐기물처리장에 한국언론진흥재단 원자력 연수단이 도착했다.

한국원자력안전공단이 홍보동영상을 보여줬다. 1991년 충남 안면도와 2003년 전북 부안 방폐장 반대운동 화면이 눈에 들어왔다. 국내 최장기 미해결 국책사업이었다는 방폐장 부지 선정.

곧바로 2005년 경주 유치 결정 직전 유치를 주도했던 백상승 경주시장 유치운동 화면이 나왔다. 그는 경북 영덕과 포항, 전북 군산 등 다른 세 곳과의 경쟁에서 방폐장 유치를 주도했지만, 이후 원자력안전공단 관계자로부터 뇌물을 받은 혐의로 지난 1월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그렇게 경주는 원자력발전소에 이어 방폐장까지 유치한 국내 유일한 원전 도시가 됐다.

원자력안전공단 이종인 이사장의 인사말에 이어 관계자가 방폐장 소개를 했다. 1단계 동굴처분시설 완공. 2단계 표층처분시설 실시설계 중이며, 2019년 12월 준공 예정. 나머지 3단계는 장기 로드맵.

그때 이런 말을 했다. "고준위사업까지 하게 될 때를 대비하게 됩니다."

기자의 질문이 나왔다. "경주방폐장이 그렇다는 이야깁니까?"

이 이사장이 직접 나섰다.

"고준위는 정부 정책을 수립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공론화 과정입니다.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이처럼 경주방폐장 논란 중 하나는 이후 고준위핵폐기물 수용 문제다.

"전혀 결정된 게 없습니다. 경주방폐장은 중저준위 처리장일 뿐입니다."

방폐장을 나갈 때까지 관계자들이 몇 번을 강조했다.

중저준위 핵폐기물에는 장갑·작업복·덧신·폐필터·교체부품·주사기·시약병·종이류 등이 있다. 반면 고준위핵폐기물은 사용후 핵연료에서 분리된 핵분열 생성물의 농축폐액이나 폐연료봉 등 방사선 방출 강도가 높은 폐기물이다.

대전의 한국원자력공단 핵폐기물 지하처분시설 김건영 실장은 "한국의 고준위핵폐기물 처리 정책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했다.

좀 더 알아봤다. 관련해 정부는 '사용후핵연료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 당장 2016년부터 각 원전 내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이 포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고리원전 2016년, 영광 한빛원전 2019년, 울진 한울원전 2021년, 경주 신월성원전 2038년 등이다. 지금까지 확인된 공론화위원회 입장은 "2055년 전후로 사용후핵연료 영구처분시설을 건설해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도다. 이처럼 '수수방관'에 가까운 입장으로 말미암아 교체론까지 나왔다.

경주방폐장 현장 방문은 인수저장시설과 지하 95m 사일로 순으로 했다. 사일로 안내는 정의영 처분운영실장.

"동국대 의대 김익중 교수는 사일로 주변 토양에 지하수가 흐르는 문제를 지적했는데 어떻습니까?"

"지하수가 흐르지 않는 곳은 없습니다. 모아서 모두 뿜어내게 돼 있습니다. 중요한 건 지하수가 사일로로 침투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사일로 내부 저장 연한은 어떻게 됩니까?"

"이곳에 있는 6개의 사일로는 60년 뒤에 폐쇄됩니다. 법적 관리 기간은 지상 300년, 지하 100년입니다."

"지난해 IAEA가 이곳에 고준위 핵폐기물이 들어오는 건 아니냐는 문제를 지적했다는데요?"

"아닙니다. 오해죠. 관련 보도도 있었지만, IAEA는 중저준위뿐 아니라 고준위도 저장할 만큼 완벽하다는 점을 오히려 칭찬했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