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부릅 뜨고 보는 원자력] 원자력 안전기구 어떤 게 있나

고리원자력발전소 반경 150㎞ 안에 대부분 경남도민들이 산다. 방사능이 누출되면 몇 시간 안에 사정권에 든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원전 안전성에 대해 근본적 우려를 확산시켰다. 고리 1호기 정전 은폐와 품질서류 위조, 경주 신월성 3호기 노동자 3명의 질식사 등은 우려를 증폭시켰다. 밀양 주민들은 10년 이상 송전탑반대 투쟁을 해왔다. 원전이 생활이 된 것이다. 발생 현안 외에 우리에게 기본이 되고 상식이 되는 원자력 정보가 생기면 틈틈이 이 코너에 싣도록 하겠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원자력 연수가 있었다. '원자력·방사선 안전규제 체계의 이해'라는 제목대로 어떤 안전규제 장치가 있는지 알아보는 연수였다.

4월 21일 오후 2시 첫 방문지는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의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흔히 알파벳 이니셜 'KINS'로 알려졌다.

먼저 들른 곳은 'KINS Simulator'로 원자력발전소 주제어실을 그대로 옮겨놓았다. Large Display Panel, Safety Console 등의 장치로 원전 사고 순간을 재연했다. 담당자는 "가장 큰 원전사고는 전기가 끊기는 거죠"라고 압축했다.

동북아(중국·한국·일본) 원전 수가 곧 100개가 된다고도 했다. 세계 최대 원전 밀집지역으로 3국간 안전협약이 필요하다고 했다.

2시 40분께 방사능방호기술지원본부에 들렀다. 이석호 경영기획본부장이 KINS의 역할을 설명했다.

주요 업무는 원자력 시설 안전규제, 원자력안전규제 연구개발 및 전문화, 방사선 안전규제, 국민신뢰 증진 및 원자력안전 국제협력, 방사선 비상대응 등. 구체적 내용은 원전 품질서류 위조, 계속운전 원전 안전성, 방사선 과다 피폭사례와 사건·사고·현안 발생 대응 능력 등이다.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누출 등 한중일 3국간 방사선감시체계도 포함된다.

본부장 설명 중 원자력 안전규제 기구와 인력 비교가 인상적이었다.

원자력안전위원회 140명, 원자력안전기술원 474명, 원자력통제기술원 78명. 이를 합한 692명이 한국의 원자력 안전규제 인력이다. 모두 30기(가동·준비)인 한국 원전 1기당 23명꼴로, 미국(37.7) 프랑스(37.9) 캐나다(44.7)와 비교됐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국무총리실 직속의 원자력 안전규제 정책 총괄기구이고, 다른 둘은 그 산하의 연구전문기구다.

위원회는 대통령이 임명·위촉하는 위원장·상임위원·비상임위원, 국회에서 추천해 대통령이 위촉하는 비상임위원 4인을 포함한 총 7인으로 구성된다. 원안위는 최근 월성 1호기 수명연장과 신고리 3호기 운영허가 심의 등 원자력 이용에 따른 안전규제로 원전 건설·운영에 대한 인허가 심의 발급, 안전성 심·검사 수행 기능으로 국민에게 알려졌다.

이 본부장이 끝으로 "국민과 소통하고 싶다"고 했다. 그래서 기자는 소통 방안으로 지역언론 취재를 도울 수 있느냐고 물었다.

"일단은 원안위를 통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우리는 원안위를 기술적으로 지원하는 기관이거든요."

다음 방문지 역시 대전에 있는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줄여서 KINAC이다.

국내 유일의 핵 비확산 및 핵안보 전문기관이다. 국제원자력기구(IAEA) 연계 기구다. 핵 발전 원리와 핵무기 생산 원리는 어떻게 비교되는지 궁금했다. 이번 연수를 안내한 원안위 차용호 사무관이 설명했다.

"아주 다르죠. 핵발전은 핵연료를 5% 정도로 농축시키는 거라면, 핵무기는 95% 정도로 고농축시키는 거죠."

이어진 야외의 핵안보 교육·시험시설 견학. KINS나 KINAC 모두 사전 신청과 검토를 거치면 시민들 견학이 가능하다고 했다.

 △4월 28일 자 4면에 보도된 '원자력 안전기구 어떤 게 있나?' 기사 중 '경주 신월성 3호기 노동자 3명의 질식사'를 '신고리 3호기 건설노동자 3명의 질식사'로, '다른 둘은 그 산하의 연구전문 기구다'를 '다른 둘은 그 산하의 규제전문 기관이다'로, '(원안위는)총 7인으로 구성된다'를 '총 9인으로 구성된다'로 바로잡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