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지사에 대한 주민소환운동이 마침내 본격화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무상급식 중단 사태를 맞아 여러 차례 소환 작업을 벌이겠다고 공언해온 민생민주수호를 위한 경남 315 원탁회의가 도민 대토론회 구상을 밝힘으로써 시동을 걸었다. 앞으로의 방향과 추진일정을 구체화하되 대강의 안을 먼저 잡은 후 그 내용을 중심으로 토론회를 열어 도민 공감대를 형성하겠다는 것이 원탁회의가 계획하고 있는 첫 과제인 듯하다.

법정 허용시기인 7월까지는 2개월 정도 남았다. 지금의 반분 위기를 몰아 속전속결로 승부를 보겠다는 계획은 이 경우에도 가장 유력한 전략임이 틀림없다. 시간이 늘어지고 긴장감이 빠지면 참여의식은 옅어지기만 할 뿐이다. 그렇게 되면 단체장 주민소환은 말 잔치로 끝날지도 모르고 관민 간 이질감만 커진다. 다행히 성공하더라도 행정 공백이 생기는가 하면 실패하면 임기 내내 갈등이 반복될 것이다. 이래저래 피해는 주민에게 되물려질 뿐이지만 그래도 멈출 수 없는 까닭은 주민 권익을 침해당했다는 공동체 의식이 너무 절실한 탓이다. 진주의료원 폐쇄도 그렇지만 학교 무상급식은 더더욱 그렇다. 원상회복을 위해서는 그러한 독단적 행정을 강행한 단체장 본인을 퇴출하는 것이 민권이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임을 공유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난관이 따른다. 지방자치가 구르기 시작한 후 몇몇 곳에서 기초 또는 광역단체장 주민소환 투표가 성사됐지만 번번이 실패했다. 제일 큰 원인은 참여의식 부족이다. 귀중한 민권의 소재를 확인할 기회라고는 하나 막상 유효투표율을 채우지 못한다. 또 해당 단체장은 기본적인 지지세력을 갖고 있을뿐더러 조직과 예산을 앞세워 세 대결에서 우위에 선다. 경남 315 원탁회의는 필경 그러한 여러 가지 취약점을 십분 고려하고 있을 것이다. 어떻게 하면 소환분위기를 유지하며 효과를 극대화할 것인가 하는 것이 아마도 그들 추진단체에 내려진 절체절명의 소명일 것이다. 경비도 들 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무대 장막을 여는 준비 절차에 지나지 않는다.

관건은 유권자 투표를 절대 수만큼 이끌어낼 수 있느냐 하는 것이다. 그에 대한 충분한 고뇌가 있은 다음에야 비로소 '홍준표 소환'을 위한 대장정에 나설 수 있을 뿐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