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의 여파가 건축현장에도 미치고 있다. 강모래 부족으로 소금기가 기준치를 초과한 바닷모래가 건축에 사용되고 있다. 경남도에서 확인한 바로는 4대강 사업으로 도내 낙동강 구간에서 파낸 준설토가 모두 1826만㎥인데 94%가 판매됐고, 나머지는 복구용으로 사용되어 판매용 모래 중에서 남은 것은 고작 60만㎥뿐이라는 것이다.

건축물 강도를 약하게 하는 소금기 많은 불량레미콘을 도내 아파트와 도로 건설현장에 공급한 바닷모래 판매업자와 레미콘업자가 창원검찰청에 적발됐다. 창원지검에 의하면 5개 바닷모래 세척·판매업자가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공급한 모래양만 49만 6800㎥였다. 1000㎥의 바닷모래로 12층 건물을 지을 수 있으므로 엄청난 분량이다. 이들 업체의 바닷모래 공급지역은 거제·통영권을 제외하고 중부경남지역까지 포함하고 있다. 염분이 많은 레미콘문제는 공공·민간 건설현장에 대한 경남도 감사에서도 드러났다. 거제 아주도시계획도로 개설공사 구간 가운데 교량에 들어가는 레미콘 염분치가 초과되었던 것이다.

레미콘업체가 바닷모래를 쓸 수밖에 없는 것은 4대강 사업 이후 강모래가 사라졌기 때문이다. 90여 개의 레미콘 업체가 도내에서 영업 중인데, 한 업체대표는 "제대로 씻지 않은 모래로 레미콘을 만든 것은 잘못이지만 강모래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러한 현상은 4대강 사업 과정에서 이미 예상된 일이기도 했다. "4대 강 사업할 때 1년 만에 모두 소비된다고 예측했다. 예측대로 2년 전부터 강모래가 턱없이 부족하다. 경남도에 강모래 개발 건의도 했다"고 업체 대표는 말하고 있다.

염분이 많은 바닷모래 사용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한다. 하지만 경남에서 강모래가 나오는 곳이 없는 형편이다. 낙동강은 4대강 사업으로 이미 다 파냈고, 다른 강은 물량이 넉넉하지 않다. 남강 구간 의령지역 1곳이 모래 채취 예정지로 지정돼 허가절차를 밟고 있고, 함안지역 1곳은 예정지 지정을 위한 환경영향평가가 진행 중인데 2곳에서 확보 가능한 모래도 70만㎥에 불과할 뿐이다. 바닷모래 채취도 중단될지 모르는 상황에 놓여있다. 남해안 EEZ(배타적 경제수역) 바닷모래 채취 연장계획에 대하여 어민들이 어장 피해문제로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남도는 바닷모래 사용에 대해 엄격한 품질관리에 나서야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