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길 따라 내 맘대로 여행] (39) 전북 전주 최명희문학관

"내가 과연 누구인지 무엇을 어떻게 하고 살아야 할 것인지 깨닫는 그 순간부터 인간은 존귀한 존재가 된단 말이다."(혼불 4권 43쪽)

뺨을 스치는 공기가 차갑다. 생명을 다하고 바싹 말라 뒹구는 낙엽과 앙상해진 나뭇가지를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괜스레 심란하다. 오롯이 나만을 위한 여행을 준비하기에 좋은 때다.

대하소설 <혼불>의 작가 최명희(1947∼1998)의 녹록지 않았던 삶과 그 흔적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최명희문학관'(전북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3가 67-5)을 찾았다. 최명희문학관이 있는 전주는 그의 고향이다.

<혼불>은 최명희가 만 17년 동안 집필한 작품으로 우리 역사에서 가장 암울하고 불행했던 시기인 1930년대를 배경으로 국권을 잃고 일제 탄압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청암부인'이라는 주인공을 통해 그려냈다.

<혼불> 원고

아담하고 소박한 분위기의 '최명희문학관'은 잠시 머물며 뭔가를 끄적거려도, 뭔가를 읽기에도 좋은 분위기다. 그도 그럴 것이 문턱을 넘으면 '1년 뒤에 받는 나에게 쓰는 편지'를 담는 느린 우체통이 지키고 있다. 마당에 자리한 의자에 아무렇게나 걸터앉았다. 한 줌의 햇볕도 자리를 잡았다. 편지지를 앞에 두고 나에게 집중한다.

나는 나에게 어떤 말을 해주고 싶을까. 위로도 좋을 것 같고, 격려도 좋을 것 같다. 지금 이 순간, '나'와 함께 떠난 여행의 소회도 좋을 것 같다. 편지를 느린 우체통에 넣는다. 1년 뒤 이 편지를 받는다면 어떤 기분일지 가늠조차 되지 않는다.

설레는 마음을 안고 전시관으로 발길을 옮겼다. 먼저 눈길을 사로잡는 것은 허리춤까지 쌓아올려진 원고지다. 육필로 꼬박꼬박 원고지를 메워 장장 1만 2000장을 써낸 최명희. 쉼표 하나, 마침표 하나까지 심혈을 기울여 한 자 한 자 새기며 완성한 소설 <혼불>의 흔적이다.

"나는 나의 일필휘지를 믿지 않는다. 원고지 한 칸마다 나 자신을 조금씩 덜어 넣듯이 글을 써내려갔다"는 말처럼 작가 자신에 대한 겸허로 완성한 것이다.

원고지를 쌓으면 그 높이가 3m에 이른단다. 전시된 원고는 전체 원고의 3분의 1에 해당한다. 요즘 사람들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작가만의 숭고한 노동이 느껴진다. '수공의 작가'였던 최명희가 늘 함께했다던 만년필과 칼, 철끈, 자, 가위 등 '문방오우'에서는 장인정신이 고스란히 전달된다.

"웬일인지 나는 원고를 쓸 때면, 손가락으로 바위를 뚫어 글씨를 새기는 것만 같은 생각이 든다. 그것은 얼마나 어리석고도 간절한 일이랴. 날렵한 끌이나 기능 좋은 쇠붙이를 가지지 못한 나는, 그저 온 마음을 사무치게 갈아서 손끝에 모으고 생애를 기울여 한 마디 한 마디, 파나가는 것이다."(<혼불> 작가 후기 중에서)

최명희의 글을 필사해본다. "모든 질문에, 내가 할 수 있는 대답은 아무것도 없다. 참으로 어깨 아픈 가난이로구나." 그의 서체를 따라 써 본다. 손끝에 힘을 주고 연필심을 꾹꾹 눌러 무언가를 써본 적이 언제였던가 하는 생각에 잠시 부끄럽다.

곳곳에 전시된 작가의 혼이 담긴 원고와 친필 편지·엽서들을 보며 이 가을을 책과 함께 마무리해보리라 다짐해 본다.

△혼불문학공원 = 혼불기념사업회는 전주시·전북대학교와 함께 2000년 가을 전주 건지산 자락, 덕진동 작가의 묘역에 작고 아름다운 혼불문학공원을 조성했다. 최명희문학관에서 자동차로 15분 정도 떨어져 있다.

묘 주변으로 작가의 문학청년 시절 모습을 형상화한 부조상이 있고, 그 아래에는 반원형으로 10개의 안내석이 있다. 이 안내석에는 후배 작가들이 <혼불>과 작가의 어록 중에 가려 뽑아 새긴 글들이 적혀 있다. 낙엽 비 내리는 문학공원은 지금, 늦가을의 감성으로 가득 차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