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음악사는 크게 고대-중세-르네상스-바로크-고전주의-낭만주의-국민악파-근현대 음악으로 나눌 수 있다.

각 시대는 시대 상황에 따라 고유한 음악적 특징을 갖는다. 르네상스 음악을 시작으로 특히 바로크, 고전주의, 낭만주의 음악은 오늘날 공연장에서 가장 많이 연주되는 작품임과 동시에 연주자는 물론 일반 청중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다. 더 나아가 이 시대 음악은 한국은 물론 전 세계 대부분 음악대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교육된다.

음악은 연주 형태에 따라 사람 목소리로 표현하는 성악과 악기 중심의 기악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16세기 이전 음악은 성악이 중심이었고, 17세기 이후 바로크 시기에 이르러서는 기악이 양적으로 거의 동등해졌다.

섬세한 고난도 작업이 필요한 악기 제조기술이 그리 발달하지 못했던 시기는 기악음악보다 성악 및 합창음악이 우위를 차지했다.

내용 면에서는 서양 사회 환경과 특성상 기독교적인 사상에 뿌리를 둔 음악이 많았다. 이는 기원후 기독교 세력이 강대해짐에 따라 교회음악이 체계화·조직화되며 나타난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기악이 성악을 능가하게 된 것은 18세기 후반부터이며 현대까지도 그 경향이 강하다.

합창음악 연주회를 다니면서 느끼는 것은, 역사적 사실이 이렇다 보니 합창단들이 야심차게 준비한 주요 레퍼토리 대부분이 바로크시대나 고전주의·낭만주의시대 작품이라는 것이다. 요즘 들어서는 르네상스시대 무반주 합창곡이나 현대 합창곡들을 연주하는 경우가 많아지긴 했지만 말이다.

얼마 전 대구시립합창단 지휘자가 한 공연에서 특정 종교 레퍼토리 문제로 사임을 했다. 그 배경을 살펴보니 불교계가 이의를 제기하면서 문제가 비롯됐다.

이와 관련해 합창계 쪽에서는 서양 합창에 대한 이해 부족이라는 입장이 있는가 하면, 다양한 레퍼토리 개발이 필요하다는 자성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지역의 종교 갈등으로 비화될 수도 있었던 일이라 문제가 참 간단치 않다.

음악인으로서 걱정되는 것은 대구 음악계 동향은 경남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번 대구에서 일어난 사태로 인해 합창음악이 비교적 활성화되어 있는 경남은 물론, 국내 합창음악계 전반이 침체되는 일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2014년 11월도 반이 지나갔다. 이제 곧 12월이다. 성탄절을 기점으로 종교계는 서로서로 축하 메시지를 보내고, 언론과 방송에서는 어려운 이들을 돌아보자는 목소리가 넘쳐날 것이다.

전욱용.jpg
헨델의 '메시아' 초연의 의미를 되새겨 봤으면 한다. 문화 국민으로서 문화에 대한 상호 배려와 이해가 가득한, 성숙한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전욱용(작곡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