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프로야구계 최대 화제는 한국시리즈가 아니라 김성근 감독 복귀인 것 같다. 만년 꼴찌 한화 새 수장이 된 김성근은 예의 '야신'다운 압도적 카리스마로 팀을 바꿔나가고 있다. 그에 대한 시선은 이구동성 호의적이다. 야구를 알거나 모르거나, 세대와 정치색을 뛰어넘어, 이토록 폭넓은 지지를 받는 인물이 또 있을까 싶을 정도다.

왜 우리는 김성근에 환호할까. 실력, 열정, 신뢰, 냉철, 책임감 여러 단어가 떠오른다. 이춘재 <한겨레> 스포츠부장은 최근 칼럼에서 "김성근 감독은 변화와 도전의 아이콘이다. 인생의 쓴맛을 경험했거나 기성세대에 막혀 꿈을 펼쳐볼 기회조차 갖지 못하는 젊은 세대들은 그에게서 도전의 가치를 배운다"고 극찬하기도 했다. 의아해지는 건 이 지점이다. 대의명분이 훌륭하면 수단과 과정은 아무래도 상관없는 걸까. 김성근은 외곬, 독선, 무한경쟁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한화 감독이 되자마자 기존 코치들을 '단칼'에 날려버리고 '자기 사람' 앉히기에 나선 그다. 혹독한 훈련이 일본에서 진행 중인데 부상이 있든 없든 선수들의 상황이나 의사는 고려 대상이 아니었다.

지난달 28일 취임식을 위해 한화 홈구장으로 들어오고 있는 김성근(가운데) 감독. 팬들이 건 '당신이기에 행복합니다' 현수막이 눈에 띈다. /연합뉴스

꼴찌 팀 아니냐고? 그럼 실적이 부진한 노동자는 해고·징계 등 막 다루어도 되나? 스포츠 세계 아니냐고? 그곳은 노동권과 인권의 무풍지대인가? 자발적 동참 아니냐고? 그야말로 국가든 자본이든 지배세력들이 부조리한 현실을 은폐하고 자기 정당성을 강화하는 대표적 논리 아니었나? 이 시대 지도자상으로서 김성근에 대한 절대적 믿음은, 성과만 확실하다면 기본권과 민주적 소통구조쯤은 무시해도 된다는 '저들의 논리'와 '우리의 논리'가 한 치도 다르지 않음을 부정할 수 없게 한다.

더 큰 아이러니는 김성근이 한화 감독에 임명되는 과정이었다. 평소 구단 고위층에 비판 목소리를 높여왔던 그가 재벌 총수(김승연 한화 회장) 한마디에 현장 프런트 의견과 관계없이 감독에 선임된 것이다. 김성근 자신은 물론 그와 함께 구단 횡포에 분기탱천해왔던 야구팬들 반응은 예의 잠잠했다. 결론만 만족스럽다면 재벌의 독단이고 나발이고 '닥치고' 따르자는 이 무서운 결과지상주의.

물론 누구도 흔들리지 않을 수 없는 강렬한 유혹이다. 실적이나 성적이 모든 걸 가르는 세상에서 누가 김성근을 외면할 수 있을까? 그렇다고 목적과 수단의 불일치를 언제까지나 용인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많은 사람이 세상을 바꾸자고 이야기하지만 거기까지다. 이명박·박근혜 정부를 거치며 민주주의가 후퇴했다고 분개하지만 정작 자기 일상에선 민주주의에 너무도 무심하거나 무감각하다. 이상은 늘 거창하고 아름답지만 그에 걸맞은 '진보적 수단'에 대해선 별 대안도 문제의식도 없다.

프로야구 코치들은 언제나 '파리 목숨' 신세여야 하는지, 구단·선수·팬 다수가 수긍할 수 있는 공정한 인사 시스템은 없는지, 김성근 말대로 진짜 "선수노조는 시기상조"(2009년)인지, 이 모든 것 역시 함께 고뇌하고 해법을 찾아야 할 문제다. 선동열 전 KIA 감독이 구단 고위층 입김에 의해 재신임됐을 땐 발끈하면서, 김성근이 똑같은 방식으로 낙점됐을 땐 반대로 조용한 이중적 모습이 계속된다면 우리는 영영 '총수님' 손아귀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다. 어느 날 갑자기 메시아께서 강림해 온갖 모순과 걱정거리를 단박에 해결해주면 좋겠지만 그건 가능하지도 바람직하지도 않은 길이다. 세상을 바꾼다는 건 그렇게 어렵고 종종 지리멸렬하다. 이걸 부정하면 안 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