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자료 한 곳에 모아두는 인터넷 상 저장소

컴퓨터, 스마트폰 등 IT기기가 우리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하지만 IT용어들은 어렵기 그지 없다. 먼저 IT는 무슨 뜻일까? IT는 'information technology'의 약자로 직역하면 '정보 기술'이라는 뜻이다. 한 마디로 컴퓨터와 이와 유사한 것을 활용해 정보를 다루는 것을 말한다.

이렇듯 IT에 관심이 있더라도 용어가 어려우니 알아보는 것을 기피하고, 이는 IT에 대한 무지로 이어져 속칭 말하는 ‘호구 손님(호갱)’이 돼 눈뜨고 코베이는 일들이 부지기수다. 막말로 우리 호주머니를 지키기 위해서라도 IT용어와 기계에 대해 알아야 할 때, 인문계 출신인 기자가 최대한 쉽게 용어해설을 해보려한다.

클라우드(cloud)라는 것이 있다. 구름? 무슨 회사 이름도 아니고 기계 이름도 아니다. 그런데 곳곳에서 클라우드라는 이름이 들린다.

IT산업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이 가진 IT기계가 점차 많아졌다. 집에서 쓰는 컴퓨터, 회사에서 쓰는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7~9인치 크기의 기기, 기능은 스마트폰과 대개 비슷하다) 등을 쓰게 됐고, 많은 사람은 7~8개의 기기를 사용하기도 한다. 

기계가 많아지면서 골치아파진 일이 생겼다. 자료나 사진, 동영상 등이 한 곳에 저장된 것이 아니라 사방에 흩어지게 됐다. 자료를 어디 뒀는 지 몰라 집과 사무실을 뒤지는 일을 심심찮게 보게 된다. IT전문가들은 고민에 빠졌다. 어디 한 곳에 몰아 넣고 아무데서나 아무기계나 상관없이 막 열어보고 저장할 수는 없을까? 그렇게 해서 탄생한 것이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클라우드는 '인터넷에 떠 있는 내 개인 저장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래서 이름이 cloud(구름)이라고 붙여졌다. 컴퓨터에서 본 파일을 클라우드에 넣어 놓고, 컴퓨터를 끈 다음 스마트폰으로 같은 파일을 볼 수 있다. 다른 컴퓨터에서도 같은 파일을 볼 수 있다. 이곳저곳에 흩어져 있던 자료를 한 곳에 모두 넣어 놓고 언제든지 어디서든 꺼내 볼 수 있으니 참 편하게 됐다. 그리고 엑셀 같은 문서는 클라우드에서 열어보고 문제가 있는 숫자를 고치면 자동으로 클라우드에 저장이 된다.

201106072095g_2011060720731.jpg
▲ 애플에서 그린 클라우드 개념도. 한 장의 음반을 온라인에서 구매를 하고 클라우드에 저장해 놓으면 노트북(아래 오른쪽)과 태블릿PC(아래 가운데), 스마트폰(아래 왼쪽)에서 마음껏 들을 수 있다는 점을 설명하고 있다.

요즘엔 문서나 자료 말고도 메모나 일정, 연락처 등도 클라우드가 그 사람이 쓰는 모든 기계에 알아서 저장해 주는 기능도 생겼다. 이게 가능한가? 예를 들어보자. 기자가 스마트폰에서 11월 1일 일정을 새로 하나 만들었다. 이 일정은 스마트폰이 자동으로 클라우드에 전송하고, 클라우드는 새 일정을 기자가 쓰는 태블릿PC와 컴퓨터 일정 프로그램에 자동으로 내려 보낸다. 기자는 컴퓨터에 손도 대지 않았지만 컴퓨터 일정 프로그램엔 이미 새 일정이 저장 돼 있다. 이렇게 편리한 서비스가 클라우드다.

클라우드 서비스는 네이버나 다음, 구글, 애플 등 대표적인 IT업체들은 모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는 'N드라이브'라는 이름으로, 다음은 '다음 클라우드', 구글은 '구글 드라이브', 애플은 '아이 클라우드'라는 이름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용량은 5기가 바이트(고화질 영화 2편 분량)에서 50기가 바이트(고화질 영화 20편 분량)까지 다양하고, 더 많은 용량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약간의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물론 클라우드 서비스의 그림자도 있다. 개인보안이 더욱 중요해졌다는 점이다. 클라우드 서비스가 뚫리면 단순히 개인 주민등록번호가 아니라 개인의 일정과 메모, 연락처, 문서, 사진, 동영상 등 그 사람의 모든 자료가 통째로 남의 손에 넘어가는 것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