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해양신도시 가능하다 (1) 없앨 수 없다면 잘 만들자

마산 서항지구 매립을 반대하는 시민단체가 공식 대응기구를 만든 게 지난 2001년입니다. 당시 마산·창원지역 40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마산만매립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입니다. 이후 2003년 '도시연대', 2010년 '창원물생명시민연대'로 마산해양신도시 사업 반대 운동은 이어집니다. 하지만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은 진행형입니다. 정부는 아예 사업 백지화는 불가능하다고 못을 박았습니다. 이제 그들이 지키려던 바다는 포기해야 할까요? 지난 2일 창원물생명시민연대가 대안을 발표합니다. 사업을 중단하지 않으면서 바다를 품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창원시 대답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애매한 수요를 근거로 신항만을 조성한다. 조성 과정에서 파낸 흙으로 섬을 만들어 신도시를 세운다. 대신 바다를 내놓아야 한다. 바다를 흙으로 메우는 과정에서 불거질 환경 피해는 가늠하기 어렵다. 신도시 조성 이후 구도심 공동화 가능성도 크다.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을 반대하는 쪽에서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대가다. 2001년 '마산만매립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에서 현재 '창원물생명시민연대'로 이어지는 '사업 백지화' 요구 논리는 이처럼 단순하다. 하지만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을 추진하는 정부와 창원시 태도는 변함 없다.

지난 2일 창원물생명시민연대가 기자회견을 열었다. 마산해양신도시 사업 대안을 제안했다. 일관된 사업 백지화 요구에서 한발 물러선 중재안이다. 한마디로 해양신도시를 조성하더라도 바다를 잃지 않을 방법이 있다는 것이다. 시민연대 표현을 빌리면 '마지막 기회'다.

창원시 마산해양신도시 매립현장 모습. /김구연 기자

◇마산만 매립, 여전히 반대 = 시민연대가 제시한 대안은 역설적으로 사업 백지화에 대한 희망이 꺾인 지점에서 비롯한다. 시민연대는 최근까지도 사업 백지화 가능성을 포기하지 않았다. 마산합포구가 지역구인 이주영 해양수산부 장관이 '믿는 도끼'였다. 이 장관은 지난 2010년 국회 발언을 통해 가포신항 용도 변경과 해양신도시 사업 취소를 요구했다. 해양신도시를 반대하던 국회의원이 주무 장관이 된 만큼 사업 취소에 대한 기대는 커졌다. 그러나 이 장관은 최근 시민연대와 면담에서 사업을 중단할 수 없다는 뜻을 밝혔다. 1000억 원 이상을 들여 호안 조성을 마친 상황에서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사업이라고 못박은 것이다.

대안을 발표하는 기자회견이었지만 시민연대는 상당 부분 사업 백지화 소신을 밝히는 데 공을 들였다.

차윤재 시민연대 공동대표는 "마산만을 살리기 위해 해양신도시 취소를 주장했던 이주영 장관이 마산만 매립을 위해 국비까지 끌어들이겠다는 것은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비난했다.

시민연대는 기자회견문에서 마산만을 메우겠다는 해양수산부와 창원시 계획은 여전히 타당성이 없다고 강조했다. 조성사업 반대 뜻도 변함 없다고 했다. 마산만을 지키는 활동에 시민이 참여해 줄 것을 거듭 호소했다. 발표하는 대안은 최선이 아니라 차선이라고 했다.

차 공동대표는 "매립으로 사라지는 마산만을 지켜볼 수만은 없다"며 "단 한 평이라도 마산만을 지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민연대가 준비한 대안 발표가 이어졌다.

◇재앙을 희망으로 바꿀 수 있다 = 마산해양신도시를 조성하면서 마산만을 지킬 수 있다는 대안은 조성된 호안을 부정하지 않는 것에서 시작한다. 기본 구상은 3개 구역으로 조성한 호안 가운데 두 곳만 준설토 투기장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한 곳은 흙을 덮지 않고 인공갯벌로 만들고 나머지 한 곳은 에너지 자족도시(C-ZERO CITY)로 조성하자는 게 기본 얼개다. 메우지 않은 나머지 구역은 수변공간이 있는 내수면 공원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이는 비용 부담 면에서도 유리한 대안이다. 신도시 조성 면적이 줄어든 만큼 사업비 조달 부담이 줄고 상대적으로 준설토 투기장 면적이 넓어지므로 국비 지원도 수월하다는 것이다.

허정도 시민연대 공동대표는 "제안이 받아들여진다면 해양수산부는 준설토 투기장을 확보할 수 있고 창원시는 사업비 부담을 줄이면서 신도시를 조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시한 대안을 바탕으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해양신도시 조성은 재앙에서 희망으로 바뀔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안에서 핵심은 인공갯벌과 내수면 공원이다. 호안을 유지해서 신도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했다면 인공갯벌과 내수면 공원이 마산만을 살리는 방법이 된다. 그렇다면, 인공갯벌과 내수면 공원은 어느 정도 현실성과 효용성을 갖춘 대안일까.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