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독·날씨·약물 등 원인 피부 모세혈관 염증 일으켜

우리 몸 조직은 이 땅과 같다.

비가 오면 온 대지를 모래알 하나까지 다 적시고 지하수나 강물이 되어 바다에 모이면 다시 증발하여 구름과 비가 되어 또 대지를 적시듯이, 몸속 오장육부에서 바깥 피부에 이르기까지 생기를 품어냈다가 다시 거두어들이는 과정을 반복한다.

피부는 몸을 싸고 있는 보자기와도 같다. 바깥 공기를 막고 우리 체온을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두드러기는 내장에서 품어낸 기운이 피부에서 순조롭게 돌아오지 못하고 충격이 가해져 생기는 현상이다. 즉 굵은 혈관이 아니라 피부의 모세혈관과 신경에 관계되는 피부병이다.

그 원인의 첫째가 음식 문제다. 위나 소장의 움직임이 좋지 못하면 충분히 주무르지 못해 음식독이 생겨 피가 탁해지고 달아오른다.

그것이 온 몸을 돌 때, 특히 피부의 모세관에서 염증을 일으키는 것이 두드러기다.

바깥 찬 공기나 건조하거나 습기 많은 날씨, 햇빛 등이 직접 피부 호흡을 방해해 두드러기가 생길 수도 있다.

징그러운 걸 보면 두드러기가 난다는 말처럼 심장에 충동이 일어나도 생긴다.

전신 조직에도 충동이 일어나 피가 탁해져 피부 가장자리에 와서 염증이 일어나는 것이다. 바깥 찬 공기에 피의 흐름이 껄끄러워져도 마찬가지다.

어떤 약물이나 주사 등에 의해 인위적으로 오기도 한다.

급성으로 나타나는 단순한 두드러기는 치료를 하든 안하든 자체 치유능력이 있으니 잘 해결되지만, 여차하면 나타나는 만성적인 두드러기는 치료가 까다롭다.

음식의 경우 어떤 음식으로 발병하는지 일일이 다 시험해 볼 수도 없으니 소화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상책일 것이다. 소화력이 활발해지면 이전에 못 먹던 음식도 먹을 수 있게 된다.

바깥 공기의 경우 그 공기에 민감해져 있는 자기 자신 탓이지 계절과 그 환경 공기를 피할 수는 없는 노릇. 역시 피부가 튼튼해져야겠다.

신경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암만 징그러운 걸 보고 들어도 두드러기 안 나는 것은 역시 신경이 튼튼하기 때문이다.

요약하면 결국 치료의 방향은 이렇다. 위장의 염증을 달래고 소화를 증진시키며, 생기를 도우면서 피부 염증을 달래며, 두드러기독이 피부로 배설되도록 해서 몸 안팎이 다시 잘 통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윤상현.jpg
필요하다면 신경을 튼튼히 하는 약재를 그 사람에 맞게 추가해 처방하는 것이 근본적인 치료가 되겠다.

두드러기엔 정해진 처방이 있을 수가 없다.

/윤상현(활기찬 경희한의원 원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