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적 공방으로 비화된 창원 성주사 사태는 법원의 판결로 임명받은 새 주지의 출입은 보호를 받게 됐지만 문제 해결에는 별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당장 소송 당사자인 신도들의 반발이 여전히 강하고 지역 불교단체들 역시 성주사지킴이로서의 역할을 절대 포기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따라서 법원의 결정에도 새 주지 입성에는 큰 진통이 예상될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충돌마저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적법성이 부여됐다고는 하나 대상은 무량도장인 사찰이다. 법 이전에 신앙생활의 전제인 정신적 공감대가 필요하지만 그것을 채워줄 만한 단초는 제공되지 않았다. 본사인 범어사는 권한 행사를 강화하는 데 여념이 없는 듯하고 성주사 신도나 지역 불교단체는 그에 맞서 초강경 자세를 굽히지 않는다. 비록 일개 사찰의 분규이긴 해도 지역사회에 던지는 불신감이 결코 작다고 말할 수 없다.

성주사가 왜 이렇게 곤란한 와중에 휘말리게 됐는지 그 근원을 캐고 들어가 보면 가닥은 크게 두 가지로 집약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외부인들은 잘 모를 수 있는 것 중의 하나로 불교계 내부의 관습을 들 수 있다. 일러서 사찰 문중과 관련한 불문율로 중요 사찰은 대개 그들 문도에 의해 계승되는데 이번에 임명된 주지는 그 틀을 벗어났다는 것이다. 부패 의혹에 따른 반발 기류도 주요 요인이다. 전 주지가 공금을 횡령했다는 혐의를 사고 있으나 그 부분 해명이 이뤄지지 않고 있는 점이다. 이런저런 실타래가 얽히고 설켜 꼬일 대로 꼬여버린 것이 지금의 성주사다.

시간이 흐르면 저절로 삭아 없어져 버리는 것이 있는가 하면 눈덩이처럼 굴러 주체하기 힘들 정도로 덩치가 커지는 것도 허다하다. 성주사는 후자의 경우라 할만하다. 지난 7월 범어사가 주지를 임명한 이후 3개월 동안 출구 없는 내홍으로 자중지란에 빠졌고 쟁송으로 제3자 해결에 기대기도 했지만 앞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다간 사찰이 권력게임에 집착한 나머지 승려와 신도는 물론이요 일반 시민조차 뒤돌아보지 않는다는 비난을 사기 십상이다. 결자해지하는 포용심이 선결이다. 범어사는 처음으로 돌아가 불교인들의 공의를 모으는 절차를 시작해 나쁠 것이 없다. 불사를 법의 잣대로 들이대는 모습은 아름답지 못할뿐더러 일방통행식 밀어붙이기는 불가의 초전법륜을 구현하는 수단으로도 적절치 않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