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비춤-창원 버스전용차로]버스탑재형 CCTV, 데이터베이스 구축해 실효성 높여

버스전용차로는 버스에 통행우선권을 부여해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것이다. 서울시가 1985년 10월 한강대교부터 서울역까지(총 4㎞)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한 것이 최초다. 이후 1990년 도로교통법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하기 시작했다.

우리나라 버스전용차로는 가로변과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있다.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는 기존 도로 인도 쪽 차선을 버스에게 제공하는 방법이다. 시행이 간편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것이 특징이다. 중앙버스전용차로가 많은 서울 등 수도권을 제외하면 창원 등 나머지는 대부분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다.

대부분 가로형 버스전용차로를 적용하다보니 버스전용차로 구간에 불법주정차 상존이나 단속시스템 미비, 안내표지판 등 홍보 미비 등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경남에서 유일하게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하는 창원시도 똑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려면 △버스전용차로 단속 강화 △버스전용차로 정보제공 강화 등이 필요하다. 하지만 창원시에는 고정식 단속카메라만 운영해 카메라가 설치된 단속구간만 피하면 다시 전용도로를 달리거나 주·정차하는 얌체 운전자들이 많은 실정이다.

대전시는 2008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버스탑재형 버스전용차로단속시스템을 구축했다. 시내버스 전면에 CCTV를 장착해 운행하면서 자동으로 전용차로를 위반하거나 불법 주·정차한 자동차를 녹화한다. 시는 2008년 10대, 2009년 4대, 2010년 10대를 설치해 현재 총 45대에 버스탑재형 CCTV가 설치돼 있다.

특히 버스탑재형 버스전용차로단속시스템으로 단속한 결과(2011년 10개월 동안) 월평균 대당 226건으로 나타나 고정식 무인단속시스템(61건) 대비 270% 높았다. 현재 서울과 광주, 대구 등은 버스탑재형 버스전용차로단속시스템을 선택하는 등 단속의 실효성을 높이고 있다.

단속도 중요하지만 버스전용차로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도 필요하다. 지자체는 버스전용차로제 운영구간 및 운영방법에 대해 시민에게 정확히 알려줘야 하지만 창원시는 홈페이지 등을 통한 버스전용차로제 홍보를 등한시하고 있다. 이런 까닭에 많은 운전자가 여전히 버스전용차로에 대해 잘 모르고는 실정이다.

반면 서울, 부산, 대구 등 다른 지자체는 홈페이지에 버스전용차로 현황과 운영 등을 DB로 구축해놓았다. 특히 부산은 주·정차/전용차로 위반 정보 조회서비스 홈페이지를 만들어서 버스전용차로 단속안내와 단속카메라현황 등을 공개해 버스전용차로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