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기사 새로쓰기] 1995년 적조 피해액 무려 308억 원 달해

현재 idomin.com에는 2000년 이후 45만 건의 기사와 6671명의 인물DB가 구축 돼 있습니다. ‘지난 기사 새로쓰기’는 바로 이렇게 구축된 idomin.com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하는 기사입니다.

지난 7월 31일 고성 통영 해안에 적조주의보가 발령되면서 올해도 어김없이 남해안 ‘적조 시즌’이 시작됐습니다. 그래서 ‘적조’라는 키워드로 idomin.com 에서 검색을 해 봤습니다. 2000년 12월 8일 자 기사를 시작으로 무려 674건의 기사가 검색이 됩니다. 매년 48건의 기사가 쏟아졌다는 말입니다. 적조가 얼마나 우리 경남 바닷가를 괴롭혔는 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이들 기사를 토대로 2000년 이후 경남에 있었던 적조의 피해와 양태를 정리해 봤습니다.

적조 최대 피해 규모는 1995년

먼저 해마다 겪는 적조가 발생 안 했던 적은 없을까요? 2010년과 2011년에는 적조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2004년, 2008년, 2009년에는 적조가 발생했지만 거의 피해가 없이 넘어갔습니다. 역으로 생각해보면 지난 15년 동안 5년을 제외하고는 모두 크든 작든 피해를 입었습니다. 이참에 우리나라 최초의 적조는 언제 일어났을까요? 2003년 8월 20일 자 기사에는 적조에 대한 토막상식을 정리했는데요,  이 기사에 따르면 기록상으로는 서기 161년 삼국사기에 기록된 것이 최초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적조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해는 언제일까요? 1995년으로 당시 돈으로만 무려 308억 원에 달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리고 다음으로 피해를 많이 입은 해는 2013년으로 2505만 마리의 어류가 폐사하고 216억 원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리고 3번째로 많은 피해를 입은 해는 2007년으로 101억 8000만 원의 피해를 입었습니다.

▲ 2007년 8월 적조 방제작업 모습./경남도민일보DB

적조 피해를 가장 많이 보는 곳은 어디일까요? 도내 대부분의 피해는 양식업이 발달한 통영시에서 일어납니다. 2013년 적조 피해의 80%를 통영시에서 발생했습니다. 통영시 이외에 남해군과 거제시가 적조 피해를 입습니다. 물론 적조는 남해안 전역에 걸쳐 발생을 합니다. 마산만과 진해만에도 2002년, 2004년, 2005년, 2007년, 2008년에도 적조가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대개 무해성 적조라 큰 피해가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적조의 원인은 '육상오염물질'

적조는 언제 생기는 것일까요? 남해안에 생기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적조’는 보통 7월 중하순에서 발생해 초가을까지 이어집니다. 큰 피해를 준 2013년 적조는 7월 중순에 발생해서 약 50여 일 동안 맹위를 떨쳤습니다. 물론 간혹 늦가을에도 적조가 생기기도 합니다. 2006년 10월 20일, 2009년 11월 30일에는 적조가 생겼다는 기사도 보입니다. 또한 앞서 언급한 마산만과 진해만 일대의 적조는 주로 5월에 생겼습니다.

420584_322276_4524.jpg
▲ 2013년 7월 통영시 산양읍 한 어장에서 적조로 죽은 참돔이 쌓여 있다./경남도민일보DB

그렇다면 적조는 왜 생기는 것일까요? 2003년 8월 20일 자에 적조 원인을 분석한 기사가 실렸는데요. 이 기사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육상오염물질의 연안유입’을 적조의 원인으로 꼽았고, 적조 피해의 원인으로는  ‘고밀도 양식과 양식장 환경관리의 미흡’이 꼽혔습니다. 

마지막으로 적조피해를 막을 수는 없을까요? 아쉽게도 기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적조에 맞서는 것은 아직까지 그 한계가 뚜렷합니다. 황토를 미리 준비하고, 방제시스템을 잘 구축해 놓아서 적조가 일어났을 때 최대한 피해를 줄이고, 2008년부터 적조 직전에 양식어류를 방류하는 것을 연구 중입니다. 아직까지는 적조를 근본적으로 막을 방법이 없는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적조에 대한 기사를 살펴봤습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