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4대강수계관리위 보고서 발견…보 설치 구간 독성 남조류 극성

정부가 4대 강 사업으로 낙동강에 보가 만들어진 이후 생태계가 갈수록 악화하는 걸 알면서도 국민에게 알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환경단체와 전문가들로 구성된 '4대강복원범국민대책위원회'와 '4대강조사위원회'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과 4대강수계관리위원회가 작성한 2013년도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수계별 <보 설치 구간 수생태계 모니터링 보고서>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보 설치로 낙동강 생태계 교란이 갈수록 심해졌다고 밝혔다.

특히 4대 강 사업으로 상수원 안전을 위협할 독성 남조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를 보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낙동강 8개 보 상·하류 19개 지점에서 76차례 진행된 조사에서 유독성 남조류가 우점종(생물 군집 전체 성격을 결정하고, 그 군집을 대표하는 종류)이나 아우점종(우점종 다음)으로 나타난 때는 2010년과 2011년 각 3회에 불과했다. 그러나 2012년과 지난해에는 각각 21회, 27회로 최대 9배까지 늘어났다.

더구나 대표적인 유독성 남조류로 지목되는 마이크로시스티스는 지난 2010년에는 어느 계절에도 우점종 위치를 점하지 못했다. 그러나 2011년 가을부터 하류인 창녕함안보를 중심으로 우점종 위치를 점하더니 2012년 여름부터는 낙동강 중류 칠곡보까지 세력을 넓혔다.

지난 2012년 민주당 장하나 의원 일행이 합천창녕보를 방문, 녹조현상과 관련해 기자회견과 브리핑을 마친 후 합천창녕보와 바로 붙어있는 한 지천에서 녹조 현상으로 여러가지 색을 띠며 악취가 진동하는 강물을 손으로 퍼올려 취재진에게 보여주고 있다. /경남도민일보DB

특히 지난해에는 여름부터 가을까지 낙동강 상류 상주보에서 하류 창녕함안보까지 우점할 정도로 낙동강 유독성 남조류 확산이 광범위해졌다.

어류를 대상으로 한 모니터링에서는 보호종 감소가 두드러졌다. 낙동강 본류에서 발견되는 법정보호종은 '흰수마자'와 '백조어'다.

흰수마자는 상주보 상류 10㎞에 위치한 본류와 내성천 합류 구간에서 발견되는데 2010년에는 9마리 발견됐으나 지난해에는 1마리밖에 발견되지 않았다. 낙동강 본류와 연결된 지류인 감천에서는 2010년 24마리가 확인됐으나 지난해에는 단 5마리만 발견됐다. 백조어는 지난 2012년 낙동강 전역 10개 지점에서 발견되던 것이 지난해에는 강정고령보 하류 1곳에서만 발견됐다. 낙동강 8개 보 설치 이후 악화하는 수생태계 탓에 서식지가 점차 훼손되고 있음이 의심된다.

생태계 교란종 분포 지역도 점차 확대하고 있다.

특히 칠곡보, 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 등 중·하류로 갈수록 심화했다. 이들 보 지역은 2010년과 2011년 조사 때 돼지풀이나 가시박 등 2종만 발견됐지만 2012년과 지난해 조사에서는 돼지풀, 가시박,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4종으로 늘었다.

4대강복원범국민대책위원회와 4대강조사위원회는 "이번 정부 보고서는 4대 강 사업 추진 당시 정부가 내세운 '하천 생태계 복원'과는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자인하고 있다"면서 "하지만 환경부는 이 보고서가 완성된 후에 공식적인 설명을 한 적이 없다. 이 사실을 시민들에게 공개하고 설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