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예술이 갖는 문화적 힘과 사회적 가치는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기초 예술인 대다수가 생계 문제에 시달려 예술의 본업을 충실히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이미 통계청과 경남문화예술진흥원, 창원시 등을 비롯한 여러 곳의 통계자료가 비관적으로 발표되었지만 제도적 배려는 더디기만 하다.

일반적으로 물질적인 부가 어느 정도 축적이 되고 나면 정신적인 부를 일구게 된다고 했지만 경제대국 우리나라에는 예외가 되고 있다. 문화는 흔히 승수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경제 활동이 아니다 보니 선거철에도 늘 구호에 그치거나 뒷전으로 밀려난다. 지역 문화는 문화예술의 생산구조와 유통구조, 그리고 소비구조가 한 지역에서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균형을 시정할 경남의 문화정책은 미비하다.

누가 경남의 문화예술을 생산하고 소비할 것인가! 문화 인프라, 문화 인력, 문화 재정이 수도권에 50% 이상 편중되어 있고 문화산업 부문의 수도권 집중률이 90%를 상회하고 있는데, 지역균형의 편차가 이렇게 심각하고 문화향유 결핍이 지역 인재 수도권 유출의 주범임에도 정말 이대로 둘 것인가?

문화의 생산과 분배가 단지 문화산업으로 오해되어서, 산업과 관광 같은 부가가치로 문화예술을 재단하려는 경향도 있다. 그러나 유럽의 많은 나라에서는 기초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공공의 영역으로 배려하고 있다.

예술도 교육과 마찬가지로 공공재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예술인들의 작업 환경과 생계 문제, 지위 향상과 복지 증진을 위한 법적·제도적 보장은 문화국가, 문화국민을 만드는 지름길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최근 경남의 문화예술 정책에 젊은이들을 위한 정책이 결여되어 있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젊은 기초예술가들이 그들의 다양한 실험과 연구 결과를 공유하고, 이를 어떤 형식으로든 관객과 소통할 수 있도록 경남도 문화예술 도정이 도와주어야하는데 그렇지 않다는 이야기다.

다른 지역에서는 발전 가능성 있는 유망한 신진작가가 보다 안정된 작업 환경 속에서 창작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레지던스 프로그램과 창작 공간이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다.

   

젊은 작가들이 창작 활동을 통해 생활하는 것은 지극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 늘 하는 이야기지만 창작보다는 생활과 싸우고 있는 현실에서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경남의 문화예술 정책은 무엇부터 해야 할까? 문명이 물질적인 움직임이라면 문화는 정신적인 움직임이다. 그리고 이 정신적인 움직임을 만드는 예술 행위는 문화의 시대에 기초 자원이다. 도민들이 수준 높은 삶을 향유하기 위해서도 문화 생산자인 젊은 예술가들을 보호·육성하는 제도가 시급하다.

/황무현(조각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