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립예술단은 시민을 위해 존재한다."

시립예술단의 존재 이유와 그 역할을 이야기할 때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말이다.

그런데 이 말이 잘못 이해되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주위의 여러 음악인을 비롯해 음악 애호가들과 이야기하다 보면, 일반 시민이 아닌 주로 음악 애호가층을 위해 시립예술단이 존재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시립예술단이 시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말이 매우 복합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본다. 즉 크게는 지역사회 작게는 문화계, 더 세분해서 들여다보면 그 지역의 음악계를 위해서도 존재한다는 뜻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시립예술단은 음악회장을 찾는 청중들을 위한 공연 외에도 지역 음악계에 기여해야 하는 과제도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클래식 음악계에 직업적 공연시장이 형성되지 못한, 시립예술단이 거의 유일한 직업 연주단체인 나라다.

지역 음악계에서 시립예술단의 역할에는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 있을까?

먼저 오디션을 거쳐 선별된 유능한 음악가, 즉 시립예술단원들의 음악계 참여다. 지역 출신이든 아니든 시립예술단원이 되어 지역의 일원으로서 자연스럽게 지역 음악인들과 어우러져 활동하다 보면 그 지역 음악계의 수준은 당연히 올라간다.

또 다른 측면에서 살펴보면 지역음악인들과 시립예술단이 함께하는 무대, 다시 말해 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다. 지역 연주자들에게 활동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음악계의 역량을 높이는 것이다.

물론 공연 때마다 흥행을 보장하는 유명 연주자들을 초청해 지역민들에게 수준 높은 공연을 제공하는 것도 아주 큰 역할이다. 하지만 지역 음악계에도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면 그보다 더 좋을 수는 없다.

단지 1년 몇 회의 공연으로 시립예술단이 역할을 다했다고 할 수 있을까? 극단적인 견해일지 모르나, 만약 시립예술단이 지역 문화계·음악계 발전에 기여를 못하고 청중들을 위한 공연만 그들의 의무라고 생각한다면 그 예산으로 더 저명한 악단이나 외국의 유수 악단을 초청해도 상관없을 것이다.

물론 공식적인 공모를 통해 신인 연주자의 등용문인 협연 무대를 마련하는 등 다각적인 방안이 시도되고 있으나 지난 몇 년간의 활동을 살펴보면 지역 출신 음악가들에게 주어진 기회는 너무 극소수다. 지방화시대 지역 음악문화의 인프라 구축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적절한 균형과 안배가 필요하다.

창원시는 조만간 서류심사와 면접심사를 거쳐 빠르면 2월 말, 늦어도 3월 초까지는 시립교향악단 신임 지휘자를 뽑을 계획이라고 한다. 창원시가 여러 측면을 검토해 지역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지휘자를 뽑으리라 믿는다.

   

과거와 달리 다른 지역 여러 시립예술단 운영 방식을 살펴보면 시는 "지원하되 간섭은 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지키려 노력하고 있다. 이는 시립예술단 지휘자가 어떤 생각을 갖느냐에 따라 지역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욱용(작곡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