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낭에 장액이 고여 발병, 탈장 동반 보고 수술 판단

친구들 혹은 어른에게 '짝불알 아냐?'라는 장난스런 말을 남자라면 누구나가 어렸을 적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우리가 '짝불알'이라고 장난스럽게 부르던 것이 실제로 소아에게 흔히 발병되는 질환 중 하나인 선천성 음낭수종일 수도 있다.

음낭수종은 고환을 둘러싼 고환초막이라고 하는 막 사이의 공간에 장액이 고여 있는 상태다. 소아에게 흔히 발견되는 질환이다. 음낭에만 국한되어 있는 일도 있지만, 고환 상부까지 확장되어 서혜부에서 만져지는 일도 있다. 발적이나 발열과 같은 증상은 대부분 없지만 통증을 수반하기도 한다.

선천성 음낭수종은 아이의 복강과 음낭 사이의 연결통로가 사라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어 발병하게 된다. 즉, 태아의 배 속에 있던 고환이 초상돌기라고 하는 복막 일부와 함께 음낭으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고환이 음낭까지 완전히 내려오게 되면 초상돌기가 막혀야 하지만 막히지 않으면 초상돌기를 통해 아기의 복강 안에 있는 복수인 장액이 음낭 내 고환초막 안으로 자유롭게 출입을 하게 되어 음낭에 물이 고여 발병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연결통로가 커서 배 속의 창자가 빠져 내려오게 되면 탈장이 된다. 따라서 선천성 음낭수종과 소아의 탈장은 같은 원인으로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영유아기 아기의 △음낭 크기가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경우 △음낭이 너무 팽팽하게 커져서 고환을 만지기가 어려울 때 △음낭에 빛을 투과했을 시 빛이 잘 투과되는 경우에는 음낭수종을 의심하고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 탈장이 동반되거나 고환에 종양이 있는 경우 및 음낭 안에 혈액이 고인 경우는 빛이 잘 투과되지 않기 때문에 초음파 검사를 통해 음낭수종의 여부를 판단한다.

1세 이전의 아기는 당장 수술을 하지 않고, 1세가 지날 때까지 지켜보는 것이 좋다. 음낭과 복강을 연결하는 통로인 초상돌기가 자연적으로 막혀 음낭수종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다. 1세가 지난 후에도 음낭수종이 지속한다면 자연적으로 초상돌기가 막힐 가능성이 낮아서 수술로 교정이 필요하다.

탈장이 동반된다면 1세 이전이라도 수술을 해야 한다. 초상돌기를 통해 음낭 내로 내려왔던 장이 복강 내로 올라가지 못하고 끼이는 감돈탈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데, 이러한 경우에는 큰 수술이 필요해진다. 이 외에도 음낭수종의 크기가 커 고환 혈류장애를 가져올 우려가 있는 경우, 아이가 불편해 하는 경우, 외관상 문제가 되는 경우에는 1세 이전에 수술을 해야 한다.

   

음낭수종의 수술은 전신마취를 하여 진행한다. 서혜부를 1∼2㎝ 정도 절개하여, 초상돌기만을 분리하여 묶어주는 고위결찰술을 시행하고, 그 하부에 남아있는 초상돌기를 제거한다. 대개 긴급하게 진행해야 하는 수술이 아니므로, 마취나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환아의 전신상태가 가장 좋을 때 수술한다. 수술 후 음낭수종이 대부분 완치되며, 재발, 정관 손상, 고환 위축 등 합병증이 생길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매우 드물다.

/류동수 성균관대학교 삼성창원병원 비뇨기과 교수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