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재정·행정·인적 자원 태부족…"지역의 고유한 자원 활용" 강조

박근혜 정부 들어 창조경제의 핵심으로 콘텐츠산업이 부각되고 있지만 아직 서울 중심적이다. 콘텐츠산업의 사업체 수와 매출액, 종사자 등을 보면 서울과 경기도에 집중돼 있고 그 외 지역은 걸음마 단계에 불과하다. 콘텐츠가 중요하다는 것은 알겠으나 지역에서 직접 콘텐츠를 활용한 사업을 수행하기에는 재정·행정·인적 자원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재)경남문화예술진흥원은 지난 18일 지역 콘텐츠산업 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문화콘텐츠·영상워크숍'을 열었다. 경남 콘텐츠산업의 규모는 어느 정도이며, 앞으로 콘텐츠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등을 알아본다.

◇왜 콘텐츠산업인가 = 콘텐츠산업은 경제적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콘텐츠를 제작, 유통, 이용하는 것이다. 즉 문화유산과 예술 등에 창의성과 기술을 더해 출판, 음악, 공연, 게임 등을 만들어낸다. 콘텐츠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다. 다른 산업에 비해 부가가치율과 부가가치유발계수, 영업이익률이 높다. 또한 고용친화적 산업으로 다양한 서비스와 제조업과 연계돼 동반성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문제는 △10만 7000여 개 사업체 중 매출액 10억 원 미만의 영세기업이 94.4%나 차지할 만큼 취약하고 △여가문화 사회로 가고 있으나 콘텐츠 소비 수준은 미약하다는 점 등을 꼽을 수 있다.

지난 18일 경남발전연구원 1층 세미나실에서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이 주최한 '2013 문화콘텐츠·영상워크숍'이 열렸다. /경남문화예술진흥원

◇경남, 16개 지자체 중 중간 정도 = 2012년 한국콘텐츠산업 현황은 시장규모 88조 원, 수출 48억 달러, 고용 61만 명으로 정부는 2017년까지 시장 120조 원, 수출 100억 달러, 고용 69만 명(일자리 8만 개 창출)을 목표로 콘텐츠산업을 육성할 예정이다. 하지만 문제는 지역 불균형이 심하다는 것. 문화체육관광부의 '2012 콘텐츠산업 통계조사'를 보면, 2011년 콘텐츠산업 매출액(총 69조 8087억 원)에서 서울이 차지하는 비율이 66.7%로 가장 컸다. 그다음은 경기(19.7%), 부산(2.2%), 대구(1.7%), 인천(1.5%) 순이었다. 그 외 지역 매출액은 전체 매출액의 1.5%를 넘지 못해 지역 편중 현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은 16개 지자체 중 7위(1.1%)를 차지했다. 지역별 종사자 수(총 54만 8497명)도 서울이 49.8%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경기(21.2%), 부산(3.9%), 대구(3.4%) 순으로 나타났다. 경남은 6위(2.7%)였다. 콘텐츠산업 종사자 대부분인 71.0%가 서울과 경기도에 집중돼 있었다.

◇지역문화자원을 활용해야 = 앞서 말했듯이 콘텐츠산업은 서울과 경기도에 한정돼 있다. 지역에서 직접 콘텐츠를 활용한 사업을 수행하기에는 재정·행정·인적 자원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 김한곤 한국콘텐츠진흥원 전략지원부원장도 이 같은 현실을 인정했다. 김 부원장은 "지역콘텐츠 기업이 국가사업에 응모해 선정되기는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기'만큼 어려운 것은 사실이다"면서 "내년부터 지역사람, 지역콘텐츠 진흥원과 연계해 콘텐츠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지역콘텐츠지원팀'을 만들 예정이다"고 했다. 덧붙여 그는 "심사위원들 머릿속에 강하게 박힐 수 있는 메시지와 단어, 포맷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지역 콘텐츠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역문화자원에 눈을 돌려야 한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온라인 잡지에서 장재홍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서울을 비롯한 중부권이 조선문화의 거점이라면 호남권은 백제 문화, 영남권은 신라·가야·유교 문화의 거점이다"면서 "권역별로 역사·문화자원을 연계한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권했다. 또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어디서나 통용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하다. 김종세 ㈜아이코닉스 상무는 "시장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 콘텐츠는 자기만을 위한 콘텐츠다"면서 "트렌드가 뭐고 소비자가 뭘 원하는지 잘 알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