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좋은 기회가 있어 올해 나이 4살인 큰딸의 인적성검사를 했다. 평소에 엄마로서 내 딸을 봤을 때 예의 바르고 사고 치지 않고 싸움을 싫어하는 지극히 착한 아이다. 검사 결과도 그런 부분에선 좋게 평가가 나올 줄 알았다. 하지만 아니었다. 소극적이고 자기 주도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나의 양육방식 때문이었다. 난 우리 아이가 공부는 못해도 되지만 사람 됨됨이는 바르게 자라길 원했다. 그래서 돌 지나고 아기 때부터 '되고 안 되고'를 가르쳤다. 지금 4살이지만 공공장소에서 떠들면서 뛰어다니지 않고 마트에 가서 갖고 싶은 게 있어도 울면서 떼쓰지 않는다. 잘못된 행동을 했을 때 크게 야단치는 것 없이 내가 말투만 바꾸어도 금세 알아채는, 남들이 볼 때 정말 잘 키웠다, 순하다, 착하다, 얘기를 듣는 아이가 됐다.

그런데 그런 양육 방식이 아이를 소극적으로 만들었고 주눅 들게 만들었고 자기 스스로 할 수 없다 생각하게끔 만들었다는 것이다. 아이는 칭찬과 격려를 먹고 자라는데 내가 그 부분에서 인색했다는 것이다. 아닌데. 나 칭찬 많이 해주는데… 생각하면서 얘기를 듣고 나를 돌아보니 '잘했다'는 칭찬보다 '안 돼, 하지 마'를 더 많이 하고 있는 것 같았다.

남들이 볼 때 착한 아이는 다른 사람에겐 좋지만 정작 본인에게는 안 좋은 영향을 미친단다. 그래서 찾아보니 진짜 '착한 아이 콤플렉스'라는 게 있다.

칭찬 받는 거 좋아하고, 착하다는 말 듣고 싶고, 누구 하고 싸워서 미움 받거나 비판 받는 게 싫고, 특히 정말 내키지 않고 하기 싫은 것도 거절하지 못하고 꾸역꾸역 하는 것. 항상 '누가 날 미워하면 어쩌지, 싫어하면 어쩌지' 하는 생각으로 주위 신경을 많이 쓰는 것. 이런 행동들이 모두 착한 아이 콤플렉스란다.

착한 아이 콤플렉스는 내면의 욕구나 좋고 싫음의 목소리를 듣는 능력이 부족한 것이 원인이라고 한다. 또한 어린 시절 엄격한 집안 교육에서 강박이 심어졌을 수도 있다고 한다. 바로 우리 아이 케이스가 여기에 해당되는 거 같다. 그대로 놔두면 자신의 마음을 돌아볼 틈도 없이 남의 눈치만 살피는 아이로 자라게 되는 것이다. 착한 아이가 돼야 하니까….

이번 검사로 난 양육방식을 다시 돌아보게 됐고 아이에게 한없이 미안해졌다. 10살까지 인성은 엄마가 만드는 거나 다름없다는데, 내가 아이를 주눅 들게 만들었구나 싶어 며칠 동안 잠도 오지 않았다. 그나마 다행인건 아직 4살이라는 점이다. 앞으로 충분히 바뀔 수 있고 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것에 감사한다.

   

아이들에게 기를 살리는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줘야 아이의 마음의 그릇이 커진단다. 구체적으로 행동에 대해 칭찬하고 그 행동에 대해 보상을 해주면 조금씩 나아질 거라는 것이 처방이었다. 이제 내가 달라질 일만 남았다. 착한 아이가 아닌 건강한 아이로 자라게 하기 위해.

/김성애(구성작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