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은행 지역환원 숙제의 첫 문턱인 예비 입찰 결과가 밝혀지면서 본 무대인 공개경쟁입찰로 가기 위한 서막이 올랐음을 알렸다. 결과는 예상한 대로다. 경남 상공인이 중심이 된 경은사랑 컨소시엄을 필두로 부산, 대구은행 및 기업은행이 제출한 인수제안서가 모두 통과됨으로써 4파전이 됐다. 문제는 금융위원회가 공적자금회수 극대화에 역점을 둬 경남은행의 지역환원을 보장할 수 있는 안전장치에 별다른 성의를 보이지않고 있다는 점이다. 경제논리를 내세우면 거기에 대항할 마땅한 수단이 없는 것은 인정된다. 그러나 경남은행을 탄생시켰고 키워왔으며 공적자금을 갚는 데 꾸준히 힘을 모아준 경남 사람들의 상실감은 무엇으로 보상받을 수 있겠는가. 간단하게 포장만 바꾸어 돈만 많이 낸다면 태생적 연고와는 무관하게 누구에게나, 그리고 어느 곳에나 경남은행을 팔아 넘겨도 좋다는 발상은 적어도 경남 사람들에게는 배반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지역 상공인들이 팔을 걷어붙여 '경남은행은 경남인에게'란 구호로 인수자금 모으기를 전개했고 경남도를 비롯한 각급 자치단체는 행정력을 기울여 지킴이로 나서는 것을 사양치 않았다. 또 언론은 도민 여론을 대변해 지역환원의 당위성을 전파하느라 바빴다. 하지만 무슨 효과를 올렸는지 뒤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목청은 크고 소리만 요란했을 뿐 공명은 울리지 않았다. 위로부터의 반응은 거의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니 되돌아오는 응답이 있을 리 없다. 예비입찰에 참여한 타지역 3개 후보군을 비난할 이유가 없다는 뜻이다. 이대로 진행된다면 상대적 약체는 오히려 경은사랑 컨소시엄이 될지도 모른다는 우려를 크게 할 뿐이다.

결국 정치력이 발휘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다. 그저께 여의도 국회의원 회관에서 열렸던 새누리당 의원과 경남은행 노조 간 대토론회는 그걸 확인시켜 주었다. 정치권이 관심을 갖고 나서니까 쟁점의 투명성이 두드러지는 것을 실감케 했다. 허공을 향해 울분을 터뜨리느니 정치력을 동원해 조리있게 지역 입장을 반영하는 것이다. 원래 경남 것이니 되찾자는 명분은 확고부동하지 않은가. 그건 또 박근혜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정책과도 맞아떨어진다. 여권의 지역 정치인들이 이제 경남은행 지역환원에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당부하는 바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