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에서 발생하고 있는 녹조 현상은 4대강사업으로 강물 흐름이 느려졌기 때문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4대강사업국민검증단과 민주당 4대강사업진상조사위원회가 지난 6일부터 나흘간 낙동강과 남한강을 현장 조사한 결과이다. 결과에 의하면 녹조뿐만 아니라 침식이나 재퇴적 현상도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낙동강 녹조 현상은 수온, 일사량, 인이 원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강물의 체류시간을 늘리는 보를 8개나 건설한 것이 그 핵심요인이었다. 낙동강은 상주보에서 함안보까지 체류시간이 11.6배 증가했으므로 체류시간 증대가 표층 수온 상승을 유도했다는 것이다. 보 상류는 흐르지 않는 조용한 침묵의 강으로 변했고, 강은 사라지고 보 8개로 호소 8개가 생긴 것이 녹조를 발생시킨 것이다. 4대강 사업 이후 상주보에서 함안보까지 강물 체류시간이 8.6일에서 100.1일로 늘어났다는 지난 1월 발표된 감사원 감사결과와 다르지 않다.

앞으로 폭염이 아니더라도 녹조가 만성화, 심화, 확대될 것이라 한다. 4대강사업국민검증단은 4대강 사업 책임자 처벌과 강을 되살리는 작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하지만 정부는 적극적이지 않다. 박 대통령이 후보시절 '선 4대강 사업 검증, 후 보 철거 여부 결정'을 약속했지만, 아직도 정부는 4대강 사업 검증위원회도 꾸리지 못했고, 지난 16일 개최된 국가정책조정회의에서 4대강 사업 찬·반 전문가를 빼고 중립전문가만으로 조사평가위원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을 뿐이다.

현 정부의 환경부 장관도 '낙동강에서 녹조가 늘어난 건 4대강 사업에 의한 것일 수 있다'고 말했으며, 녹조의 원인을 '유속이 느려져 녹조가 더 생길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대통령의 약속대로 4대강 사업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한시바삐 실행에 옮겨져야 한다. 정부는 중립전문가로만 구성된 조사평가위원회가 아니라 애초의 계획대로 민관합동으로 4대강 사업 검증위원회를 구성하여 진상을 규명하고 4대강 사업을 주도한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 낙동강은 낙동강 주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는 식수원이다. 보의 설치가 녹조의 근본 원인이라면 보의 해체를 포함한 후속 대책을 빨리 결정해야 한다. 그것이 지금도 죽어가고 있는 강을 살리는 길이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