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에 대량의 녹조가 발생하면서 수돗물에 대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물론 정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수돗물의 안전성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공식적으로 밝히곤 있다. 하지만 '녹조라테'라는 비아냥 이전에 낙동강의 물을 식수원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강 하류 유역의 시민에겐 불쾌함만이 아니라 불신이 깊어지고 있다.

낙동강 유역에 대량의 녹조가 발생한 것은 이명박 정부 시절 이른바 4대강 사업이 집행되면서이다. 4대강 사업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선거 당시 걸었던 대운하사업이 국민적 저항에 부딪히자 이름만 달리하면서 진행된 사업이라고 감사원이 최근 밝혔다. 4대강 사업에 대해 환경단체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이 극심하게 저항하였던 이유도 분명하다. 왜냐면, 대규모 하천 개발이 진행되면 시민의 생존권과 관련된 식수관리문제가 불거질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현재 벌어지는 수돗물 안전성에 대한 논란은 녹조 발생 때만 벌어지는 일시적인 사건이 아니라 이미 사전에 예고된 사건이라는 점에서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대량의 녹조가 발생하게 되면 물에 포함된 독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화학약품인 PAC(폴리염화알루미늄) 사용량을 늘릴 수밖에 없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PAC가 인체에서 피부 점막의 손상을 끼치는 화학약품이라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다. 인체에 유해한 영향을 주는 성분이 포함된 화학약품이 얼마나 안전한지의 문제를 두고 정부와 환경단체가 서로 정반대의 입장을 펼치고 있는 셈이다. 화학약품의 사용문제를 두고 정부와 환경단체가 벌이는 논쟁에서 전문적 지식을 가지지 못한 평범한 시민마저도 정부의 편을 들어주기가 곤란하다. 왜냐면, 4대강 사업으로 인해 녹조가 더욱 심해진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이로 인해 식수처리 과정에 화학약품 사용량이 늘어난 것도 분명한 사실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명박 정부가 4대강 사업을 진행할 당시 환경부와 수자원공사는 국민여론을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개발 사업에 찬성한 전력도 고려할 수밖에 없다.

식수원의 안전성에 대해 시민의 불안감이 높아지는 현상을 비과학적인 기우나 우려라고 보기는 곤란하다. 오히려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상의 가치로 삼아야 할 정부와 공공기관이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다하지 않은 원죄가 더욱 도드라질 뿐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