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3회 '대구국제현대음악제'가 지난 6월 25일부터 27일까지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렸다. 필자도 1992년부터 매년 여름이면 대구국제현대음악제 참가를 위해 대구를 찾는다. 그만큼 가치와 의미가 깊은 음악제이기 때문이다.

음악제를 마련한 '젊은 음악인의 모임'은 1985년 영남대 작곡과 진규영 교수를 중심으로 대구·서울의 음악 학생과 교수들이 현대음악 이해 증진과 상호 교류를 목적으로 만든 젊은 음악학도의 모임이었다.

이 모임은 1990년까지 정기적인 만남을 가졌으며, 이듬해 제1회 대구현대음악제를 개최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대구국제현대음악제는 국내외 젊은 작곡가들의 작품 연구를 통해 현대 작곡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창구가 됐다. 유능한 젊은 작곡가 발굴과 외국 유학의 통로 역할도 했음은 물론이다. 1997년에는 폴란드의 거장 펜덴레츠키를 초청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90년대 초만 해도 동시대 음악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그리 많지 않았다. 모든 정보의 중심은 서울이었고 몇몇 개인을 통해 특별한 정보만 교류됐다. 그런 시기 '젊은 음악인의 모임'과 '대구국제현대음악제'는 지방의 젊은 예술가들에게 해방구 같은 곳이었다.

20여 년이 훌쩍 넘은 지금은 당시 학생 신분으로 음악제에 참여했던 작곡가들이 각 지역 대학 교수로, 전문 작곡가로 자리 잡아, 이제 그들의 제자와 함께 음악제에 참석해 또 다른 세대의 젊은 작곡가와 생각을 나누며 지난날의 에피소드를 서로 나누는 모습을 여기저기서 볼 수 있다.

올해 대구국제현대음악제는 오스트리아, 중국, 일본, 영국 등 다양한 나라의 음악인이 참여해 시대와 지역을 아우르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첫날인 25일에는 <광해, 왕이 된 남자>로 유명한 영화음악 작곡가 김준성이 초청돼 '영화, 영상음악에 대하여'를 주제로 세미나를 진행했고, 영국 트롬보니스트 베리 웹의 초청 연주회도 열렸다.

둘째 날인 26일에는 오스트리아 작곡가 '볼프강 립하트의 작품 세계'를 주제로 한 워크숍과 중국 전통음악연주단 CUN 초청연주회 등이 이어졌고, 27일에는 젊은 작곡 전공자들의 작품을 듣고 함께 이야기를 나눠보는 시간이 있었다.

특히 위촉 작곡가로 초청된 김호준(마산예총 회장, 합포만현대음악제 운영위원)의 작품에 대한 국내외 작곡가들의 관심과 호응이 컸다. 필자는 이번 음악제를 참여하는 동안 여러 작곡가로부터 합포만현대음악제에 대한 문의를 받고 답변을 해야만 했다. 왜냐하면 트롬보니스트 베리 웹이 이미 합포만현대음악제와 15년 전부터 교류를 하고 있고, 많은 국외 연주팀이 합포만음악제를 거쳐 갔기 때문이다.

합포만현대음악제 운영위원인 작곡가 임지훈은 대구국제현대음악제 스태프(총무부)로도 활동했다. 필자 또한 사무국장을 역임한 바 있다. 많은 작곡가, 연주자들의 소통의 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대구국제현대음악제를 통해 합포만현대음악제의 위상을 새삼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다.

   

대구국제현대음악제가 끝난 뒤 마산 창동예술촌 내에서 열리고 있는 김호준의 오디오 특별전 방문을 위해 베리 웹이 마산을 방문했다. 그가 남긴 말이 가슴에 와닿았다. 마산이 자신의 한국 고향이란다.

/전욱용(작곡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