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떤 일을 할 때 어깃장을 놓거나 정반대의 논리를 내놓는 경우에 '초를 친다'라고 한다. 통합 창원시의 분리문제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이는 형국을 보면 초를 친다는 말이 제격이다.

분리를 주장하는 당위성은 통합시가 균형발전을 외면한 상태에서 통합은 의미가 없다는 것이며 차라리 각자도생의 길로 가자는 것이다. 마창진 통합의 절대 요건이었던 균형발전의 요체는 '시명칭' '시청사' 그리고 '인센티브'였다.

당시 통합추진위원 9명이 모여 몇 날을 고심한 것이 바로 균형발전방안이었다. 균형발전이라고 하니 통합 이후 지역별로 개발사업을 균형 있게 안분하는 개발의 개념을 연상하지만, 실상은 개발계획의 개념이 아닌 사이좋게 하나씩 골라 갖는 것이다. 즉 3가지 당근을 놓고 마창진 3개 시가 사이좋게 하나씩 가져가는 것이 바로 균형발전의 실천이었고 통합의 암묵적인 동의였다. 3개 시 대표들 소위 통추위원 간에 이견이 고조되면 마산의 모 정치인은 "모종의 합의가 이뤄져 있다"라며 진행을 촉구하기도 했다. 마산의 경우 시 명칭을 창원시로 양보한 데 이어 시청사를 놓고 위원들끼리 대립할 때도 "모종의 합의가 돼 있다"라는 정치권의 입김 하에 회의진행이 계속된 것이다. 시 명칭을 창원으로 했기에 당연히 시청사는 마산으로 올 것이라고 모종의 합의가 돼 있다는 모 국회의원의 말을 그대로 믿은 것이다. 마산지역 3명의 통추위원은 그렇게 믿고 논의를 진행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모종의 합의라는 건 거짓으로 드러났고 뒤늦게 실체도 없는 허언이었음이 드러났다. 회의록에서도 어느 하나 근거로 남을 대목은 없었다. 무엇을 놓고 싸웠는지 모를 참담한 결과 앞에 마산지역 주민은 분노하고 있다. 이름도 사라지고 시청사도 오지 않는 마산이 돼 버린 상황에서 통합 당시 부르짖던 균형발전은 허상이었던 것이다.

분노의 시간이 오는 7월이면 3년째다. 이제 더 이상 행정적인 합의를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민의 분노는 마산 독립으로 가닥을 잡은 것이다. 6월 25일 마산역 광장에서의 시민궐기대회가 바로 그것이다. 이주영 의원은 마산 분리 법안을 발의하기 위한 국회의원의 서명을 받고 있다. 그러나 정작 지역정치권에서는 한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가운데 창원과 진해지역 국회의원들 역시 마산 분리에 냉담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시기상조니 성급하다느니 하면서 분리여론에 초를 치고 있다. 그렇다고 그들이 해법을 제시하는 것도 아니다.

지역 간의 갈등이야 있든 말든 그냥 시간만 흘러가도록 내버려 둔다는 셈이다. 제풀에 쓰러지도록 방관하는 것이라고밖에 달리 할 말이 없다. 통합에 대한 발전방안이나 고뇌도 없다. 행정 즉 통합 창원시가 하는 대로 두고만 본다는 입장이다.

안행부 역시 통합이후 행정체제개편작업에 뒷짐만 지고 있다. 막연히 알아서 통합하라는 것이고 전국적으로 조건에 맞으면 통합하고 그렇지 않으면 내버려두는 형국이다.

   

통합의 금과옥조는 행정의 효율성, 예산의 선택과 집중이다. 그러나 그러한 달콤한 미사여구가 얼마나 허구인 줄을 아는 사람은 다 안다. 행정체제개편작업이 행정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적인 문제요 정치체제의 문제임을 다 안다. 이제 마산시민의 뜻이 분리라면 각자도생의 길로 가도록 안행부가 도와줘야 하고 정치권이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

돕지는 못할망정 초를 쳐서야 되겠는가.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