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시가 최근 안전행정부에 준광역시 승격을 건의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갑자기 '준광역시'란 생소한 행정용어가 시중에 회자하고 있다. 광역시면 광역시지 준광역시는 대체 어떤 형태의 도시를 말하는가. 일반화되지만 않았을 뿐 행정관서 내부 용례로는 이미 파급단계에 와있는 일반명사다. 박근혜 정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언급한 바 있으며 지난 3월엔가 인구 100만을 웃도는 대도시, 창원시를 비롯해 경기도 수원 성남 고양 용인 등 5개 시가 준광역시 도입을 위한 공동용역을 벌이면서 그 이론적 근거가 모색되고 있다. 연구용역이 끝나면 정부가 그것을 토대로 실용화 작업에 나설 확률이 높다.

몸집은 광역시와 다를 바 없는 창원시가 준광역시로의 중간단계 승격에 희망을 걸어야 하는 사정은 광역단체인 경남도 때문임은 말할 것도 없다. 정부도 창원시를 광역시로 승격시켜주면 당장 경남이 도세 위축을 가져와 존립이 위협받게 될 터인즉 광역시와 같은 권한을 갖되 기초자치단체로서의 책무는 그대로 지게 하는 이른바 포괄적 행정기능을 부여할 참이다. 때맞춰 공포된 지방분권 및 지방행정체제개편에 관한 특별법은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에 적용되는 사무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실무적으로는 인사 재정 조직권을 갖는 준광역시 성격의 특정시를 사실상 법제화하는 길을 열었다.

통합시의 행정수요가 기초단체급의 직제에 의해 충분히 소화될 수 없다는 것은 누구나 모두 인정할 수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창원시가 준광역시로의 변신에 힘을 쏟는 것은 그것 자체만 두고 생각하면 당연지사에 속한다고 할만하다. 하지만 시기적으로 과연 적절한지 한번 냉정하게 성찰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시의회가 청사 소재지 개정 조례를 통과시키고 동시에 마산분리안을 결의한 후 통합시는 지역이기주의의 포로가 되어 민심이 찢어질 대로 찢어졌다.

누구도 장담을 못하지만, 마산지역에서 터져 나오기 시작한 재분리 주장이 어떤 결말을 낳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실현성이 낮다지만 또한 전혀 불가능하지도 않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준광역시로의 저울질은 시기상조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창원시가 먼저 서둘러야 할 것은 진정한 시민통합을 위해 화합하는 방법을 찾는 일이다. 시민 사이에 팽배해진 갈등이 법과 물리력으로 강제한다고 해소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