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사업으로 강의 유속이 느려지면서 흰수마자 등 멸종위기종이 자취를 감춘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가 최초로 4대강사업의 환경영향평가를 한 결과, 강물이 멈추게 되자 수중 어류가 호수화되는 등 예상한 대로 생태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4대강 보 상·하류 2㎞ 구간의 수생태계 변화를 조사한 결과 일부 멸종위기종이 본류에서 사라지고 강바닥에 사는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모든 수계에서 출현 종수가 감소한 것이다. 단 3년 만에 급격한 변화가 확인된 것이어서 장기적으로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수심이 얕은 곳에 사는 멸종위기 1급 흰수마자는 2010~2011년 금강 본류에서 관찰됐으나 2012년에는 관찰되지 않고 있다. 멸종위기 2급 꾸구리는 2010년 한강에서 발견됐으나 그 이후에는 자취를 감췄다.

창녕합천보 주변에서도 멸종위기 야생동물 귀이빨대칭이도 갈수기와 준설로 수위 하강에 의해 일시적으로 발견됐으나 이후에는 수위상승으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 발표처럼 보 설치와 준설로 유속이 느려지고 수량이 풍부해지면서 흐르는 물에서 주로 서식하는 흰수마자와 꾸구리 대신 정체된 물을 좋아하는 어류인 끄리, 누치가 우점종이 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강변 수변공원을 조성해 황소개구리, 줄무늬거북 등 다른 식물의 번식을 방해하는 생태계교란종도 나타났다.

이런 발표가 정부의 연구기관에서 나오자 '4대 강 사업 진실규명 및 책임자 처벌 낙동강 지키기 경남시민행동'은 민간이 참여하는 4대강 조사위원회 구성을 요구하고 나섰다. 덧붙여 4대강 사업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도 하라는 것이다. 생태계 변화는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더 지켜봐야겠지만 멸종위기종이 사라지는 등 3년간 조사결과만 봐도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준 셈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4대강 사업이 생태계에 주는 악영향은 더 커질 것임은 불을 보듯 뻔하다. 경남시민행동의 주장이 아니라도 정부는 창녕군 길곡면 임해진 호안보강공사와 함안보와 합천보 안전성, 역행침식, 수질악화, 침수문제에 대해 민관 공동조사를 해야 한다. 이미 4대 강 사업의 폐해가 곳곳에서 드러난 이상, 새 정부가 솔선수범하여 각종 의혹을 밝히는 것이 도리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