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밭 주인이 1데나리우스를 주기로 하고 이른 아침부터 일꾼을 불러 일을 시켰다. 그런데 그 주인은 아침부터 오후 내내 일자리가 없어 빈둥거리고 있는 사람들을 계속 데려와 일을 줬다. 그러다 마칠 시간이 됐고 주인은 맨 나중에 온 사람부터 품삯을 줬다. 가장 늦게 오후 다섯 시에 온 일꾼이 1데나리우스를 받았다. 당연히 아침 일찍 온 사람은 내심 더 받을 것을 기대했다. 하지만 그에게도 똑같은 돈이 주어졌다. 투덜대는 그에게 주인은 "나는 너를 부당하게 대한 것이 아니라 합의대로 한 것이다. 나중에 온 이 사람에게도 너에게 준 것과 똑같이 주는 게 내 뜻"이라고 말했다. 마태복음 20장에 나오는 얘기다.

이 대목에 등장하는 '나중에 온 이 사람'(Unto this last)이 바로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에 대한 애정과 생명이 가장 중요하다고 역설했던 '이상한 경제학자', 존 러스킨의 유명한 책 제목이 됐다. 마르크스의 <자본론>보다 6년 먼저 세상에 나온 이 책 속의 '나중에 온 이 사람'은 그때나 지금이나 각종 차별 속에 신음하는 사회경제적 약자의 또 다른 이름으로 세상에 존재한다. 새벽별 보고 집을 나와 해질녘까지 인력시장을 떠도는 날품팔이 노동자와 똑같은 일을 해도 월급의 절반밖에 받지 못하는 비정규직 노동자가 바로 그들이다.

미국 작가 랄프 엘리슨이 1952년에 발표한 문제작 <투명인간>의 주인공 역시 '나중에 온 사람'이다. 그는 분명 존재한다. 뼈도 있고 살도 있고 정신도 있다. 하지만 그는 보이지 않는다. 흑인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백인전용 좌석에 앉아 양보를 거부했던 로자 파크스 이전의 흑인이다. 그가 눈에 보이지 않는 게 아니라 사람들이 그를 보지 않으려 했던 거다. 이 '나중에 온 투명인간' 역시 이 땅에 넘쳐난다. 자기 몸의 몇 배나 되는 폐지들을 끙끙대며 끌고 가는 할머니, 냄새난다며 갖은 모욕 당하고 매를 맞아도 묵묵히 참을 수밖에 없는 외국인 노동자가 바로 그들이다.

지난 16일 기아자동차 광주 공장 앞에서 분신을 시도한 비정규직 노동자 김모 씨가 서울의 화상전문병원으로 이송되는 모습. /연합뉴스

조르조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는 동명의 책이 1995년에 출간됐으니 시기적으론 제일 '나중에 온 사람'이다. 하지만 가장 심하게 차별받는 사람이다. 그는 아예 세상에서 추방된 존재다. 그리고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시민의 권리를 공개적으로 박탈당한 자다. 더 서글픈 건 그가 죽든 말든 세상은 꿈쩍도 안 한다는 사실이다. 죽어서도 차별당하는 이들, 예를 들면 현대차에서 계약 만료로 일을 그만두고 목을 맨 촉탁직 노동자와 제 몸에 기름 붓고 불을 붙여버린 기아차 비정규직 노동자, 그리고 정규직 전환을 요구하며 철탑에서 200일 가까이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는 그들이 바로 '나중에 온 투명인간, 호모 사케르'에 다름 아니다.

이런 와중에 차별금지법 개정안 발의가 철회됐다. 피부색과 장애 같은 신체적 조건은 물론, 정치적 성향이나 성적 취향, 학력과 고용 형태를 두고 행해지는 그 어떤 차별도 금지한다는, 지극히 상식적인 법 제정이 무산된 것이다. 다시 말해 '먼저 온 사람'과 '나중에 온 사람'의 구별을 두지 말자는 법이 물 건너간 거다.

이럴 때일수록 연대만이 살 길이다. 노조 조직률 10%에 비정규직 절반의 시대, 조금 먼저 왔다고 나중에 온 사람의 서러움과 외로움을 수수방관하다간 우리 모두 가장 비참한 존재, 즉 '나중에 온 투명인간, 호모 사케르'가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김갑수(경희대 후마니타스 칼리지 외래교수)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