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포털 사이트 '네이버'의 새로운 뉴스 서비스가 논란이다. 기존 방식이 기사 '제목'을 보고 클릭하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언론사 '이름'을 선택해 뉴스를 보게 된다. 이른바 '제목 장사' '낚시질'로 그간 쏠쏠한 수익을 올렸던 언론사들은 방문자 수가 급감했다며 예의 아우성이다.

사정이 딱하긴 하나 어쨌든 이전 방식보다 진일보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이번에도 역시 아예 거론조차 안 된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늘 그렇듯 지역언론은 또 찬밥 신세라는 것이다.

네이버 메인 화면 한가운데 위치한 '뉴스스탠드' 서비스를 보자. '주요 언론사'로 명명된 총 52개 언론사 아이콘이 자동으로 뜬다. 일부 외신을 제외하고 모두 서울에 소재했거나 서울을 중심으로 기사를 쏟아내는 곳이다. 지역언론은 단 한 군데도 없다. 종합지·방송 등 각 분야별로 모아놓은 목록 맨 아래에 배치된 '지역지'를 클릭해야 22개 지역언론 아이콘이 뜬다. 맨 아래. 대한민국에서 지역이 어떤 대접을 받고 있는지 보여주는 아주 상징적인 위치가 아닐 수 없다. '영자지'보다도 아래다.

네이버 메인 화면에 배치된 뉴스스탠드 서비스(왼쪽 아래).

네이버와 포털 시장을 양분하는 '다음'도 마찬가지다. 메인 화면에 기사가 내걸릴 수 있는 100여 개 언론사 가운데 지역언론 이름은 없다. 모두 '서울 언론'이거나 전문지다. 지역언론은 검색만 가능할 뿐이다.

포털의 힘은 막강하다. 2012년 한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87.4%가 포털 메인 화면을 통해 기사를 본다. 이렇게 선택된 기사는 또 트위터 등을 통해 빠르게 확산·전파된다. 이른바 '여론'이라는 게 형성되는 순간이다. 결국 '주요 언론사'가 어떤 기사를 포털에 전송하느냐, 더 근본적으로는 포털이 어떤 매체를 '주요 언론사'로 선택하느냐에 따라 여론의 향배가 상당 부분 결정되고 있는 것이다.

평상시에는 별 문제가 없을 수 있다. 하지만 선거 등 각종 쟁점이 치열하게 맞부딪치는 상황에선 다르다. 특정 여론이 마치 전반적인 여론인 것처럼 왜곡될 가능성이 다분하다. 지난해 총선과 대선을 기억해보자. 야권이 집중 제기한 민간인 사찰 문제나 박근혜 과거사 인식, 국정원 선거 개입 등은 사실 서울 중심의 이슈였다. 서울 언론들과 포털, 트위터 등은 온통 이 사안으로 도배되었지만 많은 지역민들의 관심은 달랐다. 삶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역에선 '지역 이기'로 폄훼되곤 하는 '민생' 요구가 지배적이었다. 일관되게 민생을 말한 박근혜와 새누리당이 서울 등 일부를 제외한 대다수 지역을 '싹쓸이'한 배경도 여기에 있었다.

더 확장해서 이야기하면 포털은 현실 쟁점을 퇴행적으로 몰고 가는 주요 근원이다. 만일 지역민들의 여론이 공정하게 포털 메인에 반영됐다면 야권의 오판 가능성은 그만큼 낮아졌을 것이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다 미래지향적인 정책 경쟁도 기대할 수 있었을 것이다. 물론 지역언론도 문제가 많다. 하지만 권력교체기만 되면 마치 출마 당사자인양 사생결단의 격정적인 전투를 펼치는 '주요 언론사'보다 못할 것은 없다. "먹고 살게 해달라"는 지역민의 한 마디가 오히려 더 건강하다.

오해는 없으시길. <경남도민일보>는 포털의 지역 홀대와 뉴스의 포털 종속에 반대하며 아예 네이버 뉴스스탠드에 신청도 하지 않았고, 포털의 정책 변화가 없는 한 앞으로도 하지 않을 예정이다. 그게 여론 왜곡에 '앞장서는' 포털에 대한 최소한의 항의 표시 방법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