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이나 맞춤법보다는 기사방향을…취지 살리려면 위원연수 도입해야

학교운영위원회에 참석해 보면 학기 초, 어떤 학교는 학교운영위원 연수부터 시작하지만 어떤 학교는 임기가 끝날 동안 단 한 번의 연수도 하지 않는다. 조직의 구성원이 어떤 일을 하는지, 권리와 의무가 무엇인지 알지 못한다면 그 조직은 유명무실한 껍데기일 뿐이다. 조직의 설립목적을 살려 제대로 운영하겠다는 책임자의 의지가 있다면 당연히 구성원의 자질향상부터 시도해야 할 것이다.

경남도민일보 독자권익위원으로서 지면평가위원회 회의에 참석했다가 느낀 생각이다. 한 달에 한 번씩 열리는 지면평가위원회 위원 중 몇몇은 자기 전공분야가 아닌 한 달 치 신문을 모두 읽고 맞춤법에서 기사 평까지 하는 걸 보고 깜짝 놀랐다. 신문에 대한 애정과 노력은 높이 살 수 있지만 그건 지면평가위원회를 설립한 취지와도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경남도민일보 지면평가위원회는 창간 당시 6000여 주주들이 만든 개혁언론으로서 창간의 취지와 약자의 힘이 되기 위해 구성한 게 지면평가위원회다. 지금도 그렇지만 지면평가위원회는 지역의 일선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경남도민일보가 초심을 잃지 않고 개혁언론의 의지를 다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구성된 모임이다.

경남도민일보가 지면평가위원들의 현장 감각을 반영하려면 지면평가위원들의 연수부터 시작해야 한다. 지면평가를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면 당연히 지면평가위원회의 설립취지에 맞게 하는 일과 권한, 책임 등에 대한 연수를 통해 임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해야 한다. 자칫 취지를 살리지 못하면 모든 분야의 기사를 평가하겠다는 무모함으로 시간과 정력을 낭비하는 헛수고를 하고 말 것이다.

기자들의 능력을 불신해서가 아니다. 노동현장에서 혹은 농민의 입장에서 혹은 학교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는 현장에서 만나고 느끼는 생생한 현장 감각을 지면에 반영한다는 것은 좋은 신문을 만드는 비결이다. 현재 경남도민일보 지면평가위원회의 구성원들의 면면을 보면 민주노총, 농민회, 환경운동연합, 여성단체, 교원단체, 사회복지사, 기업대표, 시민단체, 변호사, 대학학보사, 다문화지원센터 담당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전문가들로 구성되어 있다.

일선 현장의 체험을 통해 얻은 경험을 지면에 반영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까? 당연히 매일매일 쏟아지는 기사가 자신들의 경험에 비추어 왜곡되거나 편향되지는 않았는지 확인하고 조언하는 일이다. 신문의 편집이나 문장의 구성, 맞춤법과 같은 것은 신문사의 책임이지 지면평가위원이 할 일이 아니다. 진짜 소중한 것은 지면평가위원들의 경험이나 시각에서 객관적이고 불편부당하지 않은 공정한 기사인지를 가려 혹은 질타하고 혹은 격려하는 게 그들의 임무요, 책임이다.

비판을 용납하지 못하는 언론이나 조직은 발전할 수 없다. 비판을 수용하고 잘못이 있으면 개선하겠다는 의지만 확고하다면 아무리 어려운 여건에서도 희망을 기대할 수 있다. 최근 언론이 정치적인 입장의 차이로 혹은 이해관계에 얽매여 독자의 권익을 외면한 채 왜곡, 편파보도를 일삼는 모습을 보면 언론의 앞날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지면평가위원들의 역량 강화. 이제 위기에 처한 종이신문이 살 길은 제대로 된 신문을 만드는 길뿐이다. 모든 신문이 경남도민일보처럼 지면평가위원들의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반영하는, 그래서 양질의 신문, 독자들이 원하는 신문을 만든다면 더 좋은 신문으로 거듭날 수 있지 않을까?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