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이 불편하거나 건강진단을 위해 병원에 가면 흔히 엑스선 사진을 찍게 된다. 그러나 방사선이 인체에 해롭다는 막연한 사실 때문에 지나치게 걱정을 하는 경우가 많다.

결론적으로 방사선이 어떤 것이며, 어떤 해로운 점이 있고, 얼마나 받으면 위험한지 등을 알게 되면 의료용 방사선은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

최근 신문이나 방송에서 CT 등 의료기기를 통한 방사선 과다 노출의 위험성이 알려진 후, 방사선 피폭 장애를 우려하는 사람들을 가끔 볼 수 있다. 그러나 방사선 피폭으로 인한 급성 증상은 원폭 투하나 원전 사고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대량 피폭 때 수 주일 이내에 생길 수 있다. 의학적 검사 같은 소량 피폭으로는 오지 않는다.

가령 1000mSv(방사능단위)의 방사선을 한꺼번에 전신에 받는다면 구토, 설사 증세 등을 보인다. 2000mSv를 한꺼번에 전신에 받으면 5%의 사람이 사망할 수 있으며, 7000mSv를 받으면 100% 사망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우리가 1년에 한 번씩 정기 검진을 받을 때 찍는 일반 흉부 촬영으로는 0.1~0.3mSv를 받는다. 또 다른 일반 촬영은 0.3~0.6mSv 정도이며, 피폭량이 많다는 복부 CT도 10mSv 수준이다. 따라서 단기간에 아무리 많은 X-선 검사를 받는다 해도 그로 인한 방사선 피폭 때문에 급성 증상이 올 가능성은 없다. 참고로 우리가 보통 환경으로부터 받는 연간 자연방사선량도 2mSv 정도가 된다.

방사선을 대량으로 받으면 급성 증상 외에도 장기적으로 암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것은 일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 피폭자에 대한 조사나 동물 실험 과정에서 이미 밝혀졌다. 우리가 일상적인 생활을 하고 있어도 경우에 따라 암이 되는데 많은 방사선을 받았을 때는 그 확률이 높아진다.

소량의 피폭도 유전자에 변이를 줄 수 있어 거듭하면 축적 효과를 보인다. 방사선 피폭량이 200mSv 이상 되면 암 발생률이 점점 증가하여 1000mSv에 이르면 10∼20년 뒤 암에 걸릴 확률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5% 정도 높아진다는 보고서도 나온 만큼 주의해야 한다.

하지만 이는 히로시마 원자폭탄 피폭자의 방사선 노출량과 암 발생률 증가 관계로부터 추산한 계산법을 사용한 것이며, 진단방사선 영역과 같은 낮고 잘 조절된 방사선 노출이 암의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 현대의학에서는 방사선 검사를 이용하지 않으면 진료를 할 수 없을 정도로 역할이 증대되었다. 따라서 방사선 검사의 이득이 상당히 크다.

다만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 촬영으로 인한 방사선 피폭량은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되지만, CT 검사는 그 피폭량이 일반 촬영보다 수십 배에 달할 수 있기에 너무 자주 하거나 남용하면 문제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소아는 감수성이 높아서 의사가 판단하여 방사선이 없는 초음파나 MRI 혹은 방사선량이 낮은 단순촬영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방사선 피폭과 검사를 통한 이점의 대비 효과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정남근 근로복지공단 창원산재병원 영상의학과 과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