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많이 알려졌지만 조금은 생소한 대상포진. 어느 날 연세 드신 부모님이 피부에 발진, 수포가 생기고 통증이 심하여 병원에 가면 대상포진이라는 진단을 받게 된다. 또 피부 질환은 나아지는데, 통증뿐 아니라 피부에 벌레가 기어가는 것과 같은 이상감각을 호소하며 병에 대해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감염성 질환으로 전신감염인 수두는 주로 소아에서 발생하고 국소감염은 주로 노인에서 발생한다. 새로운 감염보다는 최초 감염 후 척추 신경절에 잠복한 이 바이러스들의 재발 감염에 의한다.

원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면역 억제나 스트레스 상황이 바이러스를 재활성화하여 감염된 신경절의 신경 분포에 따라 피부 감염을 일으킨다. 피부 발진 4~5일 전부터 피부 분절에 통증이 생기고 피부 홍반이 띠 모양으로 나타난다. 이어서 군집한 수포가 홍반 위에 생기고 약 3일째 수포가 농포로 변하고 7~10일째 부스럼딱지가 생긴다. 평균 발진은 2~3주일이다.

이때 통증은 발진이 치유될 때를 전후해서 점차 소실되지만, 발진 발생 1달 후에도 통증이 잔존하는 경우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라 정의하고 수년까지 지속할 수 있다.

치료의 목표는 초기 감염의 확산 방지, 감염 기간 및 중증도의 감소, 다른 부위로 전파 방지, 대상포진 후 신경통 예방이다. 통증은 강력히 치료되어야 하고 특히 노인이나 면역억제 환자 등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빈도가 높은 환자가 아주 중요하다. 60세 이상에서는 6개월 후 통증 잔존율이 20~50%에 이른다.

치료는 항바이러스제가 급성기 치료의 표준이 되고 있다. 발진 발생 72시간 이내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바이러스 확산 기간의 단축, 발진 치유 촉진, 급성통증의 기간과 정도를 감소시키고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 빈도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진통제로 통증을 조절하지만 수면 장애를 일으킬 정도의 급성대상포진 통증은 가능한 한 빨리 제거해야 하며 이는 국소마취제를 이용한 신경블록법을 이용한다.

국소마취제의 국소침윤, 몸 신경차단, 교감신경차단 등의 방법이 있다. 급성통증은 신경차단 즉시 감소하며 교감신경차단은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고 여겨져 중요하다. 아주 심한 급성대상포진 통증은 간헐적인 신경차단으로 부족해 입원하여 지속적 경막 외 차단을 하는 일도 있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의 치료는 항경련제 등 약물치료가 주 치료법이며 통증 감소, 우울과 불안 감소, 불면증 감소에 치료의 목표를 둔다.

   

그 외 신경차단법도 시행한다. 빨리 치료를 시작할수록 효과적이나, 확실하게 효과적인 치료법은 없다. 급성기 대상포진 치료시 항바이러스 약물 복용뿐 아니라 적극적인 신경차단 등으로 통증을 조기에 조절하여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진행을 막아야 할 것이다.

/진선미 근로복지공단 창원산재병원 마취통증의학과 과장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