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에 살면서 늘 뿌듯하게 생각하는 것이 풍부한 녹지다. 대로변 숲이 되어 끝없이 이어진 가로녹지에 도시 거점마다 광활하게 펼쳐진 공원, 사람 사는 공간마다 아기자기 꾸며놓은 작은 쌈지공원 등 온 도시가 공원이라 시민들의 삶의 질은 물론 자부심은 어느 도시보다도 높다.

창원의 공원녹지에 매혹되어 수도권에서 이사 온 사람들의 이야기가 언론을 통해 전해질 때면 괜히 어깨가 우쭐하곤 했다. 공직에서 이 밥을 먹고 퇴직한 터라 도시공원에 대한 애착이 남들보다 더 하겠지만 시민들이 알게 모르게 이를 조성하고 관리해온 공무원들의 열정과 땀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앞으로도 이 방대한 공원녹지를 관리해야 하고 조만간 진해 경제자유구역청 이관, 북면 신도시, 가포신항, 현동 · 진동 택지조성지구 등 공원녹지업무는 폭발적인 증가 추세로 공원녹지의 조성과 관리 조직 및 인력의 증원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지만, 창원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공원녹지조직을 축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심히 우려되지 않을 수 없다.

이번 조직개편 안에 따르면 시 본청 산림과를 없애고 공원사업소의 녹지조성과에 산림업무를 붙여 대폭 축소하는 것으로 나와 있다. 또한, 구청의 기존 공원관리업무를 건설과 재난업무와 합쳐 재난녹지과로 만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산림을 포함 공원녹지업무는 대폭 축소되고 구청마저 재난과 산불업무로 이 과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은 1년 내내 비상근무에 시달려야 할 판이다.

조직개편은 비효율을 제거하고 조직에 활력을 불어넣어 일 할 수 있는 조직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 핵심이다. 그렇지만 창원시는 안타깝게도 이런 고민이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직원들의 사기저하에 따른 시민피해로 이어지지 않을지 걱정된다.

더구나 산불, 재선충 방제, 숲가꾸기, 산림휴양, 등산로 관리 등 산림업무도 시민들의 요구에 따라 날로 늘어나는 추세이고 공원녹지와 함께 물, 공기와 같이 시민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업무이다. 그래서 통합되기 전에는 창원·마산·진해 합쳐서 모두 5개 과에 16담당이 녹지를 관리했다.

그러다 지난해 2월 조직개편 시 2개 과가 폐지되어 3개 과로 축소되고, 올해 조직개편에서 또 1개 과를 폐지하겠다는 것이다.

결국, 창원시는 '환경수도'라는 슬로건으로 도시이미지를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있지만 환경수도를 견인하는 공원녹지업무를 축소하고 공원녹지 종사자들을 푸대접 하고 있으니 너무도 이율배반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창원시와 자주 비교하는 수원시의 경우 인구 110만 명에 시민 1인당 공원면적이 창원시의 10분의 1(창원 30.08㎡, 수원 3.42㎡)에 불과하지만 현재의 창원시 조직과 대동소이하다. 창원시는 1인당 공원 면적이 전국에서 최고다. 공원·녹지에 관한 시민의 자긍심과 행복욕구에 부응하려면 그 위상에 맞는 조직을 갖추는 것이 필수다.

이 외에도 작년에 공원사업소를 없애고 구청에 업무를 넘겨 지역 완결 책임행정을 강화하자는 의견이 지배적이었으나 반쪽 공원사업소를 남겨두어 비난이 많았다. 이 때문에 구청과 공원사업소간 업무가 이원화되어 시민불편을 가져왔다.

   

이 문제점이 이번 조직개편으로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였으나 오히려 본청 산림과를 없애고 조직을 통폐합 축소하여 달랑 2개 과의 공원사업소를 살려두어 업무의 연계성을 단절하였다. 그 이유는 더 황당하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마찬가지로 4급 공무원 보직을 위해 공원사업소를 유지한다는 얘기가 들린다. 결국, 자리 하나 지키려다 조직개편 취지가 퇴색되고 기형조직이 탄생할 위기에 놓였다.

창원시 조직개편은 진행형이다. 환경수도 창원의 슬로건이 무색하지 않도록 잘 개편됐으면 한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