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수·하천은 메말라 가고, 강변 제방·도로는 무너져 속수무책

감사원의 감사에서 부실공사가 드러난 4대 강 사업 진상규명을 위해 민간단체가 낙동강 현장을 찾았다.

18일 박창근 관동대 교수, 박종권·배종혁 의장 등 마창진환경운동연합 회원들이 낙동강 공사 구간을 돌며 부실설계와 부실공사 현장을 살폈다.

◇지하수 마르고, 제방은 무너지고 = 조사단은 아침 일찍 창녕군 부곡면 노리마을에 도착했다. 이 마을에서 3년째 산 박종훈 전 마창진환경운동연합 의장은 마을 지하수 고갈 문제를 전했다. 이 마을은 지하수를 산 중턱 물탱크에 모아 집집이 보내는 간이상수도 시설을 사용해 왔는데 지난해 12월과 올해 초 물이 안 나와 창녕군에서 광역상수도를 연결했다. 박 전 의장은 "알고 보니 지하수 고갈이 원인이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박창근 교수는 "함안보 하류를 준설하다보니 하천수위가 2~3m 낮아졌는데 지하수도 마찬가지로 낮아졌다. 갈수기에 지하수위는 더 낮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결국은 보 설치로 지하수위가 하류에는 낮아지고 상류에는 높아져 피해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창녕군 상하수도사업소에 전화로 물어보니 노리마을 지하수 문제가 보 설치 때문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고 답했다.

조사단은 낙동강변길을 따라 임해진으로 이동했다. 부곡면 청암리 아동배수문 인근 제방은 무너져 있었다. 아래 지반이 뭉개지면서 콘크리트 도로가 끊긴 흔적도 보였다. 지난해 11월 시작한 호안공사가 진행 중인데 무너진 콘크리트 블록 호안 복원 공사장엔 다시 깔 콘크리트 블록이 쌓여 있었다.

박 교수는 "과도한 본류 준설로 역행침식이 발생해 제방이 무너져 내린 것인데, 홍수 때 유속 등 사전 검토가 안 된 것"이라며 "콘크리트 블록으로 호안이 견딜 수 있는지 기술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과 박창근(오른쪽) 교수가 18일 4대강 사업 경남구간 조사를 했다. 이날 박 교수와 일행이 창녕군 부곡면 임해진 제방 침식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박일호 기자

◇보 안정성 불안하고 = 조사단은 창녕함안보에 도착했다. 감사원은 지난달 부실설계로 창녕함안보에 깊이 20m 세굴, 합천창녕보 바닥보호공 3800㎡ 유실됐다고 밝힌 바 있다.

박 교수는 "함안보 아래 60m 지점에 아파트 7층 높이인 깊이 21m 세굴 현상이 발생했는데 문제는 계속 진행 중이라는 것"이라며 "작년에 보강공사를 하면서 레미콘 1000대 분량을 넣었는데 안정성을 담보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함안보 고정보 침하현상도 따져봐야 하는데 파이핑 현상과 마찬가지로 설계 잘못"이라며 "수공은 바닥보호공 유실이 없었다고 했는데 감사원 감사에서 수공이 은폐하고 왜곡한 것이 드러난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교수는 최근 합천창녕보 파이핑 현상 문제를 제기하기도 했다. 파이핑은 보 구조물 아래 누수로 구조물 안전에 영향을 미친다. 함안보에는 침수 때 호안 돌과 돌망태 피해흔적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조사단은 침수피해가 보고된 함안 덕남지구 농지 리모델링 현장, 교각 침하로 구조물이 변형됐던 남지철교, 침수피해지역 의령 성산마을, 신반천, 합천창녕포 현장을 차례로 방문했다.

대한하천학회, 4대 강 조사위원회, 환경운동연합 등이 진행하는 이번 4대 강 현장조사는 지난주 금강, 영산강 조사에 이어 낙동강, 한강 구간에 걸쳐 4대 강 사업 진상규명을 위해 진행된다. 보고서는 3월쯤 나올 계획이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