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사람] 정의연 남해안역사문화연구소장

정의연(58·사진) 남해안역사문화연구소장은 고현면에서 나서 남해 역사 연구에 한평생을 받치고 있다.

정 소장은 남해 사람 기질에 대해 섬·육지 사람 기질이 합쳐져 있다고 했다.

"제주도·거제도에는 섬 도(嶋)를 붙이지만, 이곳은 남해도라 하지 않잖습니까? 섬이지만 섬이 아니고 싶은, 섬에서 벗어나고 싶은 이곳 사람 마음이 담겨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고려·조선시대 남해는 군사적 요충지였지만, 남쪽 끝 변방이라 전쟁이 나면 중앙 지원을 얻을 수 없었습니다. 결국, 스스로 지켜야 했던 거죠. 그래서 오늘날 남해 사람이 억척스럽고, 애향심이 유별나고, 단합이 잘 되는 것으로 표출되는 듯합니다."

   

유배문화가 지금까지 이어지는 것도 이곳 사람 정서가 담겨있다고 한다.

"뱃놈·섬사람 소릴 듣기 싫어 교육 많이 받았다는 표현을 하고 싶었던 게 아닐까요? 그래서 유배 온 사대부 성격을 이어받고, 그 문화에 동참하려 한 것 같습니다."

남해는 오늘날 선진화된 장례문화로 주목받고 있기도 하다.

"그 예전 남해는 장례문화가 아주 특별났습니다. 상여가 그 어느 지역보다 화려했습니다. 음식도 푸짐히 해 조문 온 사람 배불리 보냈습니다. 죽은 사람 마지막 가는 길은 왕처럼 모시려는 마음이 담긴 것입니다. 그런 남해에서 화장률이 아주 높은 곳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남해는 땅이 부족한 섬이기에 죽은 사람은 한곳에 모으고, 나머지 땅은 최대한 유용하게 사용하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 듯합니다."

정 소장은 끝으로 남해를 이렇게 표현했다. "남해는 곧 고려·조선 역사 축소판이라 생각됩니다. 예를 들면 고려 팔만대장경이 이곳에서 판각됐다든지, 조선시대 최대 난인 임진왜란 마지막이 이곳 노량 앞바다라든지, 이성계가 금산에서 기도한 후 조선을 세웠다는 이야기 같은 것 말이지요."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