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말고도 살고 있네요] 담쟁이덩굴

겨울은 깊었고 간간이 눈비가 자주 내려서 깊은 잠 속의 숲을 적시면 양지쪽 성급한 꽃가지에는 꽃봉오리가 터지기도 하는 포근한 날들입니다. 무학산 기슭에는 광대나물 꽃이 무리지어 핀 채로 눈 속에 덮여서 예쁜 설화(雪花)의 풍경을 만들기도 합니다.

따뜻한 기온과 습한 날씨가 이대로 계속되면 개나리·목련 꽃잎 터뜨리는 건 아닐지 자꾸 나뭇가지를 쳐다보게 되는 산책길입니다.

겨울 숲에는 상록수의 잎들과 빨간 열매들이 갈빛으로 침잠해 있는 숲의 생기를 돋웁니다. 꽃대와 빈 꼬투리만 남은 삽주·수리취·산박하…. 지푸라기가 되어버린 들꽃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줍니다.

이맘때면 마른 줄기와 잎을 더듬어서 약초를 찾아 캐던 어린 날이 생각납니다. 요즘 같이 땅이 촉촉한 날은 더덕을 찾기 더 좋은데요. 신기하게도 땅 속에서 더덕향기가 은은히 흘러나온답니다.

참나무 등을 타고 오른 담쟁이덩굴은 약초로 효능이 뛰어나지만, 바위나 다른 데서 자란 담쟁이는 독이 있어 위험하다. /박덕선

눈이 녹아 붉은 땅을 드러내는 곳을 찾아 살피면 어김없이 지초의 꽃대가 발견되곤 했지요. 그 때는 아득하기만 했던 이름 모를 나뭇가지들을 소중하게 잘라서 중심가지 다치면 안 된다고 약성 좋아 보이는 양지쪽 가지 몇 개씩만 잘라 내시던 할아버지의 마음 씀도 함께 배웠습니다.

그런 가운데서도 가장 마음 놓고 가지를 자르고 뿌리를 캐던 것이 바로 담쟁이 덩굴이었답니다. 소나무를 타고 올라간 것이 제일 좋은 것이라며 약지 손가락만한 두께의 덩굴을 만나면 신나게 걷어 잘라 왔는데요. 그대로 두면 소나무의 성장을 해치기 때문에 잘라주어야 한다는 게 더 큰 이유이기도 했답니다.

포도과의 낙엽활엽 덩굴식물인 '담쟁이'는 그 잎과 줄기가 한창일 때는 땅을 덮는 비단과 같다 하여 지금(地錦)이라고도 했답니다.

특히 참나무나 소나무를 타고 오른 담쟁이덩굴이 가장 좋으며, 20년 정도 자라면 볼펜 굵기 정도로 큰데 그 이상 되면 효험이 더 뛰어나다고 하네요. 바위나 다른 데서 자라는 담쟁이는 독이 있어 위험하니 사용해서는 안 된다고 합니다. 맛은 달고 떫으며 따뜻한 성질을 갖고 있는 약초입니다.

줄기를 잘라 말린 것을 꼭꼭 씹어보면 단맛이 나는데요. 옛날에는 진하게 달여서 감미료로 쓰기도 했답니다. 일본에서는 캐나다의 단풍설탕처럼 설탕원료로 쓰기도 했다고 하네요. 특히 술로 담가 먹으면 허리의 통증이나 관절통 등 통증을 다스릴 뿐만 아니라 뱃속의 덩어리를 없애는 데 효험이 크다고 합니다. 줄기를 잘라 말려서 달여 먹으면 활혈·거풍·부인병·적(백)대하·근육통 등에 효험이 있으며, 열매와 줄기는 술을 담가 먹는 것이 좋은데 골절 통증을 완화시키고 오래된 요통치료나 진정작용까지 뛰어나답니다. 요즘에는 당뇨에 좋다 하여 애용된다 합니다.

오 헨리의 소설 '마지막 잎새'에서 강한 생명력으로 희망을 상징하던 담쟁이 넝쿨이 소설에서뿐만 아니라 실제로도 생명을 살리는 효능을 갖고 있네요. 아름다운 단풍으로 가을을 장식하며 벽을 타고 오르는 담쟁이. 아무리 단단한 절벽에도 포기하지 않고 오르며, 느리지만 결코 포기하지 않는 도전과 강인함의 상징 담쟁이.

도종환 시인은 담쟁이를 '한 뼘이라도 꼭 여럿이 함께 손을 잡고 올라간다./ 푸르게 절망을 잡고 놓지 않는다./ 담쟁이 잎 하나는 담쟁이 잎 수 천 개를 이끌고/ 결국 벽을 넘는다'고 노래합니다. 유난히 담쟁이의 '더불어함께' 정신을 닮고 싶은 날들입니다.

/박덕선(경남환경교육문화센터 공동대표)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