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청소년연극제 휩쓴 태봉고 '끼모아'

무언가를 재밌게 한다는 것, 하고 싶은 일을 한다는 것, 사랑엔 아무런 이유가 없다는 것…. 그들의 말은 어눌하고 쭈뼛쭈뼛했지만, 눈빛은 살아 있었다. '연극'을 하고 싶고, 해야 하고, 즐겨야 하는 이유가 분명했다.

들끓었던 열정을 잃고 '기계적으로' 일하기도 한 기자에게 그들은 신선한 충격이었고 긍정의 힘을 선물했다. 그들은 제16회 전국청소년연극제에서 단체 우수상을 거머쥔 태봉고등학교 연극반 '끼모아' 학생들이다. 태봉고는 도내 유일의 공립 대안학교로, '끼모아'는 2010년 만들어졌다. 끼모아를 이끄는 지도교사 서용수 씨와 11명의 부원들을 만나봤다.

앞서 열렸던 제16회 경남청소년연극제에서는 단체 최우수상을 받았다. 제목은 <있는 그대로>(연출 박해인)로 청소년들의 임신과 낙태, 생명에 대한 소중함을 다뤘다. 누구나 알고 있지만 언급하길 꺼리는 문제에 춤과 노래, 연기 등 맛깔스런 양념을 쳐 발랄하게 드러냈다. 10대 관람객은 극 중 임신한 정미의 슬픔과 아픔을 부드럽게 감싸 안았다.

-전국청소년연극제에서 단체우수상, 최우수연기상(박해인), 우수연기상(김종필·김가은), 스태프상을 연달아 받았다. 어느 정도 예상했나.

"받을 줄 알았다.(웃음)" (박해인)

"그냥, 그랬다. 막상 상을 받으니, 뭔가 이상했다. 내가 받아도 되는지…." (김종필)

"종필이가 야밤에 전화해 '받아도 되나?'며 호들갑을 떨었다. 모두 카톡(카카오톡)으로 그룹채팅을 했는데 좋다고 난리가 났다."(박해인)

"친구들과 후배들이 1등할 거라고 했는데, 기대를 안 했다. 실감이 나지 않았다." (김민지)

"청소년이면 꼭 다뤄봐야 할 이야기였고, 하지만 잘 다루어지지 않는 이야기였다. 왠지 이번이 기회일 거라는 생각을 했고, 운이 좋게 (지난해) 성적이 좋았던 팀이 불참을 했다. 다른 팀은 대부분 1·2학년이 주축을 이루지만 우리는 연기자 8명 중 4명이 3학년으로, 끈끈한 유대관계가 있었다."(서용수 교사)

   

-작품은 어떻게 선택했고, 준비기간은 어느 정도였나.

"다들 작품을 많이 읽었고 최종 결정은 작년 11월쯤에 했다. 원작은 엄인희 희곡작가의 <성교육 뮤지컬>이다. 공연보다는 독서를 목적으로 쓴 희곡, 레제드라마(lesedrama)로 읽기는 좋은데 재미가 없더라. 그래서 춤과 노래를 넣어 재각색을 했다. 본격적으로 연습한 것은 올 초부터다."(서용수 교사)

미혼모 다룬 다큐멘터리 보며 연습

<있는 그대로>는 뮤지컬이다. 연기는 물론, 춤과 노래 3박자를 고루 갖춰야 한다. 그래서 연습도 힘들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류주욱 교사(음악)가 작곡한 11곡도 대회가 열리기 3주 전에 완성됐고 연습 기간은 짧았다. 춤은 안무가 박소연 씨가 짜서 사흘 동안 학생들을 지도했고, 나머지는 춤을 좀(?) 춰본 김민지 학생이 맡았다. 노력은 통했는지 몸치에 가까웠던 학생들이 '춤치'로 변했고, 춤을 즐기기 시작했다.

-그럼 몸이 가장 뻣뻣했던 학생은 누군가.

"(김)용민이다.(웃음)"(모두)

"아니다. 절대 뻣뻣하지 않다. 뒤에서 세 번째는 된다. (김)종필이가 못 춘다."(김용민)

"아니거든."(김종필)

-연극은 공동체 작업이라, 의견 충돌도 있을 것이다.

(침묵이 흐르고) "없었다. 원만한 교우관계를 유지하고자, 서로 노력했다."(모두)

"연극 자체가 자기를 깎아내리는 작업이다. 하지만, 사람들은 자신을 더 드러내려고 하고, 의견충돌이 생긴다. 물론 연습을 하는 동안 힘든 점도 있었지만 공연을 좋게 끝내니, 힘든 과정도 눈 녹듯이 녹아내렸다."(서용수 교사)

-<있는 그대로>는 청소년의 성을 다룬다. 다소 무거운 주제를 청소년다운 솔직함과 진지함으로 잘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연기를 하면서 힘든 점은 없었나.

"(경남청소년연극제가 열렸던) 함안에서 할 때는 막연하게 했다. 그냥 내가 임신을 했는지, 낙태를 했는지, 그 무거움이 도대체 무엇인지, 무섭지도 않았다. 그렇게 불완전하게 연기를 했다. 단순히 표면적으로 '그렇겠구나' 정도였다. 전국청소년연극제를 준비하면서 미혼모를 다룬 다큐멘터리와 낙태에 대한 동영상을 보면서 연습을 했고, 그때야 정미라면 내가 아플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박해인)

대안학교여서 자유로운 주제 선택 가능

전국청소년연극제에 총 18개 팀이 참여했다. 대부분 학교폭력과 왕따, 성적 등을 다뤘고 성에 대해 다룬 곳은 태봉고가 유일했다. 태봉고는 자율적인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대안학교였기 때문에 학교폭력과 왕따 등의 문제에서는 자유로웠고 선택의 폭이 넓었다.

"청소년 연극에 섹스라는 단어가 실린 건 처음엔 좀 이질감이 있었다. 제 주위에서 분명히 지금도 일어나는 일들이고 또 생명이라는 소중함이 야기되는 문제가 바로 임신과 낙태다. 음지에 있는 것들을 꺼냈을 때, 그것도 우리들의 이야기를 우리가 할 수 있을 때 좀 더 큰 공감과 감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을 거라 생각했다. " (박해인)

-다들 행복해 보인다. 연극을 하는 이유는 뭔가?

"다른 이유는 하나도 없다. 그저 재밌고 행복하고 즐겁다."(김가은·황혜희·박해인·김종필·방세진·정영경·김용민)

"마술사가 꿈인데, 무대에 서보는 과정이라 생각한다."(이장헌)

"그냥 다른 사람의 인생을 살아보는 게 좋다. 제가 살아가는 인생이랑 달라서…. 재밌고 즐겁다."(김민지)

"메이크업아티스트가 꿈이다. 무대분장을 하면서 실제 꿈을 이룬 것 같다는 느낌이 든다."(이신애)

"극작가가 꿈인데, 글을 쓰는 것뿐만 아니라 연극 전체를 경험하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조다인)

"연극은 제 생활이다. 제 목표는 모든 아이를 연기자로 만드는 게 아니라, 국어 교육에서 소홀한 듣기, 말하기를 제대로 할 수 있었으면 하는 것이다."(서용수 교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