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공감] 붐비는 방학 시즌 영화관…3D안경 끼고 저마다 몸이 '움찔'

한 가족이 매표소 앞에서 영화 포스터를 훑어본다. 아빠는 앞으로 맨 포대기에 아기를 안고 있으며, 엄마는 딸과 아들 손을 붙들고 있다. 이런 구성원으로 볼 수 있는 영화는 이미 정해져 있다. 상영작 가운데 하나뿐인 애니메이션 영화를 선택해 매표소로 향한다. 누나와 남동생은 오락실 쪽으로, 엄마는 매점으로 향한다. 긴 줄 끝에 아빠가 아기를 안은 채 선다.

긴 줄은 쉽게 줄어들지 않는다. 그 자리에서 표를 구매하는 사람도 있고 예약한 표를 입장권으로 바꾸는 사람도 있다. 매표소 직원은 저마다 다른 결제 방식을 하나하나 확인해야 한다.

"예매하셨습니까?" "카드로 결제하시겠습니까?" "할인카드 있으십니까?" "발권 도와드리겠습니다."

매표소 직원은 능숙하고 일정해서 기계음 같은 목소리로 질문을 이어간다. 그 질문에 맞춰 표를 사는 사람은 고개를 위아래, 좌우로 흔든다. 직원에게 스마트폰을 내미는 사람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직원은 스마트폰에 찍힌 번호를 확인하고 발권을 진행한다. 처음부터 영화를 보겠다고 작정한 사람들은 아예 매표소를 거치지 않고 상영관으로 직행한다. 상영관 입구에서 직원에게 미리 프린트한 종이를 내민다.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자리에서 영화를 보는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이다.

   

팝콘과 스낵과 음료수는 적당히 묶이며 세트 메뉴를 구성한다. 2명이 먹기에는 많고 3명이 먹기에는 적은 애매한 구성은 명민한 판매전략이다. 어중간한 양 때문에 따로 주문을 하면 세트 메뉴보다 가격이 비싸진다. 돈을 아끼면서 조금 덜 먹느냐, 넉넉하게 먹으면서 돈을 더 내느냐를 따지게 되는데 많은 소비자는 후자를 선택한다. 이왕 즐기러 나온 곳에 돈 몇 푼으로 쩨쩨해질 수는 없다는 판단이 많은 듯하다.

표 몇 장을 손에 든 여중생 또는 여고생은 영화관 입구와 스마트폰과 상영관 입구를 번갈아 본다. 그 주기가 짧아지며 얼굴 표정이 일그러지기 시작할 때쯤 영화관 입구에서 한 무리가 뛰어들어온다. 이미 표정이 일그러진 친구를 지나치게 표정을 밝게 만든 나머지 친구들이 달랜다. 마지못해 반은 찌푸리고 반은 웃는 표정으로 친구들에게 질질 끌려 상영관 입구로 향한다.

현실 같지 않은 현실을 최대한 현실처럼 보여야 하는 게 영화가 풀어야 할 과제 가운데 하나인 듯하다. 움직이기만 해도 충분한 그림은 이제 스크린 밖으로 튀어나와야 하고 좌석 위를 떠다녀야 한다. 어떤 영화는 의자가 움직이기도 하고 앞뒤에서 물이 뿜어져 나오기도 한다. 그냥 보면 흐릿하게 두 겹, 세 겹 겹쳐 형체가 애매한 그림은 커다란 안경을 쓰면서 스크린 밖으로 나와 눈앞에서 어른거린다.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죄송합니다, 잠깐만요, 죄송합니다." 하필 늦게 들어온 사람이 앉을 자리가 한 가운데다. 앉은 채 무릎을 돌려 의자 쪽으로 바짝 붙으면 가까스로 나온 공간 사이를 굽실거리며 아이와 들어온다. 아이 2명을 들어서 앉히고 자신까지 앉는 동안 뜻하지 않은 민폐를 끼칠 수밖에 없다. 앉고 나서도 주변을 향해 고개를 조금씩 숙이지만, 3D 안경을 낀 사람들에게 그 모습까지 잘 보이지는 않는다.

영화가 끝나자 한쪽 통로로 사람들이 빠져나간다. 출구 앞에서는 직원 한 명이 3D 안경을 거둬들인다. 안경을 여러 사람이 돌려 쓰는 것에 대해 불평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았다. 안경이 깨끗하지 않아 불편했다는 불평도 들린다. 실제 같은 안경을 계속 쓰는 것인지, 일회용인지, 어떻게 관리하는지는 알 수 없다. 영화관에서 챙겨야 할 문제일 듯하다.

무더위를 피해 즐길 장소로 영화관을 선택하는 것은 여러모로 현명하다. 제 한 몸 추스르기 버거운 더위에 주변까지 챙겨야 한다는 부담을 2시간 정도 덜 수 있다면 더욱 그렇다. 연인도 가족도 어두운 상영관 안에 들어가면 나머지 책임은 스크린에 맡기면 된다. 영화관이 지닌 미덕 가운데 하나일 듯하다.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