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식수원에서 발생한 녹조 원인은 유독성 남조류의 대량 번식으로 드러났다. 민주통합당 장한나 의원이 환경부에서 제출받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낙동강 8개 보 가운데 7개 보에서 간암 유발 물질을 분비하는 남조류 세포 수가 500개/㎖를 넘었다. 이 수치는 조류물질을 관리하는 조류경보제를 적용하면 '주의보'에 해당한다. 녹조가 발생한 6개 취수장을 둔 창녕함안보와 합천창녕보는 정도가 더하다. 창녕함안보와 합천창녕보는 각각 최고 1만 7672개/ml와 1만 1308개/ml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 조류 총량을 나타내는 클로로필-a 농도의 경우 합천창녕보는 58.6mg/㎥로 나타났다. 조류경보제에서는 남조류 세포 수와 클로로필-a 농도가 각각 500개/㎖와 15mg/㎥ 이상일 때 '주의보'를, 5000개/㎖와 25mg/㎥ 이상일 때 '경보'를 발령한다.

그러나 환경부는 4대강에 조류경보제 대신 조류 관리 기준이 훨씬 낮은 수질예보제를 적용하고 있다. 4대 강 사업 준공에 맞춰 도입한 수질예보제에서는 클로로필-a 농도가 70mg/㎥를 넘어야 1단계(관심)에 해당한다. 이 기준을 적용할 경우 취수원을 초록빛으로 뒤덮었던 낙동강 조류는 문제가 없는 셈인데, 환경단체들은 수질예보제 도입을 정부의 꼼수로 보고 있다. 이밖에도 4대강 사업저지 낙동강 지키기 경남본부는 본포취수장에서 취수한 시료에서 총질소와 총인 평균 검출량이 지난 20여 년간 연 평균치를 크게 웃돌았다고 발표했다.

움직일 수 없는 자료 앞에서 낙동강유역환경청은 또 '유례없는' 가뭄 핑계를 대고 있다. 애초 4대 강 사업의 목적에는 예측하기 힘든 장마나 가뭄 등 기상재해 대비도 들어가지 않았는가? 정부는 환경단체에서 문제를 제기해도 무성의하거나 판에 박힌 답변을 되풀이하고, 그래도 진실을 가릴 수 없으면 사실과 거리가 먼 변명으로 일관하거나 눈엣가시인 학자의 입을 막으려고 한다.

6월 이후 낙동강을 물들인 녹조에 대해서도 수자원공사는 극심한 가뭄 탓으로 돌리더니 비가 내리자 녹조가 말끔히 사라졌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녹조는 사라지지 않았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4대 강 수질에 대한 정확한 실태 분석에 나서야 한다. 4대 강 사업을 비판한 박창근 교수에 대한 고소 등 비판적 인사에게 몰상식적인 보복을 가하는 데 열중할 때가 아니다.

관련기사

관련기사

기사제보
저작권자 © 경남도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